최근 중국은 ▲핵탄두 수량 증가 ▲투발수단 현대화 ▲사일로 기지 확장 등을 중심으로 핵전력 증강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두고 일각에서는 중국이 기존의 확증보복 전략에서 벗어나 공세적인 핵전략으로 변화할 가능성을 제기한다. 본 보고서는 중국 핵전력 증강의 동향을 바탕으로 중국 핵전략이 아직 확증보복 전략에 머물러 있다고 분석한다. 또한, 중국 핵전략 변화 가능성이 한국과 역내 국가들에 미치는 영향, 특히 역내 잠재적 군비 경쟁과 핵 도미노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에 주목한다. 마지막으로, 본 보고서는 변화하는 안보 환경 속에서 한국의 전략적 대응 방안 마련과 지역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국제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China has recently intensified its nuclear capabilities, focusing on increasing its nuclear warhead stockpile, modernizing delivery system, and expanding missile silo bases. Some analysts argue that these developments may signal a shift from China’s traditional assured retaliation strategy to a more assertive nuclear posture. This report, however, concludes that China’s nuclear strategy remains in assured retaliation. It also examines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a shift in China’s nuclear strategy for South Korea and others, particularly the risks of a regional arms race and a nuclear domino. Finally, the report highlights the need for South Korea to develop strategic responses to the evolving security environment and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maintain regional stability.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