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2024 통일의식조사

상세내역
저자 김범수, 김병로, 장용석, 최은영, 황수환, 이성우, 김택빈, 김민지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학술지 통일학 총서
권호사항 6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192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2024 통일의식조사   #KINU 통일의식조사   #여론조사   #통일인식   #북한 인식   #가짜뉴스   #미중관계 인식   #주변국 인식   #김범수   #김병로   #장용석   #최은영   #황수환   #이성우   #김택빈   #김민지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2024년 통일의식조사는 북한이 지난해 12월 말 당중앙위 전원회의를 통해 기존의 남북관계를 전면 폐지하고 ‘적대적 두 국가’ 노선으로 대남정책을 전격 전환한 상황 속에서 진행되었다. 2024년 1월 15일 최고인민회의에서도 유사시에 남반부의 전 영토를 평정할 준비를 하라는 김정은 위원장의 지시가 내려지는 등 극도의 적대적 남북관계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전쟁이 계속되고 북러 군사관계가 강화된 가운데 남북관계의 경색이 지속됨으로써 한반도의 안보불안이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되었다.
북한의 대남정책 전환과 통일·민족 담론 폐기는 한국사회에 적지 않은 충격을 주었다. 대한민국을 “철두철미 제1적대국, 불변의 주적”으로 규정하며 70년간 견지했던 ‘하나의 조선’ 정책을 폐기하고 ‘두 국가론’에 기초한 대남전략의 근본적 전환을 선언했다. 남북관계는 “더 이상 동족관계, 동질관계가 아닌 적대적인 두 국가 관계, 전쟁 중에 있는 두 교전국 관계로 완전히 고착되었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새로 천명한 대남정책을 즉각 실행에 옮겨 통일 관련 조직과 기구 및 단체를 신속히 정리했다. 북한의 급작스런 통일·민족 폐기와 남북관계 전면 차단으로 한반도의 긴장과 불안이 극도로 높아졌다.
목차
서 장

제1부 기초분석
제1장 통일에 대한 인식
1. 서론
2. 통일의 이미지, 필요성과 이유
3. 통일의 편익에 대한 기대
4. 통일에 대한 견해와 가능 시기
5. 통일 정책의 시급성과 통일 한국의 체제
6. 소결

제2장 북한에 대한 인식
1. 서론
2. 남북한 관계 및 북한 국가성 인식
3. 북한정권에 대한 신뢰도
4. 북한발 안보위협 인식
5. 북한 관련 경험, 인지도 및 이질성
6. 소결

제3장 대북정책에 대한 인식
1. 서론
2. 정부 대북정책 목표 인식
3. 정부 대북정책 만족도
4. 정부 대북정책 현안 인식
5. 대북정책별 북한 개혁개방 및 비핵화 기여 인식
6. 북한의 국가성과 대북정책 목표 및 현안 인식
7. 소결

제4장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
1. 서론
2.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친근감과 사회적 거리감
3. 북한이탈주민 수용 및 정부 지원 정책에 대한 인식
4. 소결 및 전망

제5장 주변국과의 관계 인식
1. 서론
2. 주변국에 대한 이미지: 친밀감과 위협감
3. 주변국에 대한 이미지: 인식과 태도
4. 한반도 통일에 대한 주변국의 역할과 기대
5. 주변국과의 협력인식과 입장
6. 소결


제2부 심층분석
제6장 통일북한(정책)인식과 정치적 선택
1. 서론
2. 선행연구
3. 분석
4. 소결

제7장 Z세대의 통일 회의론 분석: 자발적 회의론, 비자발적 회의론, 그리고 통일 무관심
1. 서론
2. Z세대와 통일 회의론
3. 통일에 대한 불필요 인식
4. 통일에 대한 불가능 인식
5. 통일에 대한 무관심
6. 소결

결 장

부 록
1. 조사 개요
2. 조사 결과 집계표
3. 설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