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하나의 조선’에서 ‘두 조선’으로: 중국의 한국 인식과 정책 전환(1978~1992)

From “One Korea” to “Two Koreas”: The Transformation of China’s Perception and Policy about South Korea, 1978-1992

상세내역
저자 션즈화
소속 및 직함 중국 화동사범대학교 종신교수, 주변국가연구원 원장, 냉전사연구 센터 소장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학술지 통일과 평화
권호사항 16(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7-45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한중 관계   #북중 관계   #중국의 한반도 정책   #션즈화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중 관계 발전의 역사적 과정을 훑어보면, 중국의 한국 인식과 정책의 전환으로부터 급작스러운 한국과의 수교 결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인의 영향이 있었다. 그중 개혁개방이 가져온 중국의 외부세계에 대한 인식과 외교 이념의 전환은 모든 변화의 논리적 토대였다. 신속한 생산력 성장과 국제체제의 진입, 고립과 포위의 국제환경으로부터 탈피, 나아가 냉전 종식 후의 새로운 경제질서와 정치질서의 수립은 중국 측의 필요와 원동력이었다. 한중 관계 발전의 가장 근본적인 장애물은 중국이 북한의 감정과 반발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이었다. 중국이 ‘두 조선’ 정책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본조건은 남북의 화해와 교차승인이었고, 노태우 정부 임기 내 한국과의 관계 정상화 실현은 중국에 있어 다시 오지 않을 역사적 기회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중국 정책 결정 변화에 관한 기존 학계의 논의

Ⅲ. 한중 관계 변화 과정의 회고
1. ‘문을 닫되 걸어 잠그지 않는(關門不上鎖)’ 외교 방침
2. 느슨해진 ‘하나의 조선’ 정책
3. ‘관민유별(官民有別), 정경분개(政經分開)’의 한국 정책
4. 한중 민간 관계의 비약적 발전
5. 실질적으로 ‘두 개의 조선’을 인정한 중국
6. 크게 열린 한중 수교의 문
7. 한국과의 수교를 서두르기로 한 중국

Ⅳ. 중국의 한국 정책 전환의 요인 분석

Ⅴ. 소결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