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현안분석

  • HOME
  • 논문
  • 현안분석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PTSD)와 디스트레스(Distress)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Exploring the influence of latent profiles on post-traumatic stress and distress in North Korean defectors

상세내역
저자 김경미
소속 및 직함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사회학 박사
발행기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학술지 통일과 평화
권호사항 16(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57-305
발행 시기 2024년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외상 후 스트레스(PTSD)   #디스트레스(distress)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   #김경미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PTSD)와 디스트레스(Distress)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양상과 집단 구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중앙의료원의 북한이탈주민 인권피해 트라우마 실태조사 횡단데이터로 이루어진 30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디스트레스 양상은 저PTSD/저DISTRESS, 중PTSD/중DISTRESS, 고PTSD/고DISTRESS 집단의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이 북한 및 탈북과정에서 외상 사건 경험 빈도가 높을수록 외상 후 스트레스와 디스트레스 공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디스트레스 잠재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은 북한 및 탈북과정에서의 외상 사건 노출 빈도가 위험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남한사회에서 학력을 취득하는 수준이 높고, 결혼을 하는 것이 보호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디스트레스의 잠재프로파일 양상과 영향요인에 따른 사회심리학적 개입의 중요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외상 후 스트레스 및 디스트레스에 대한 이해
2. 외상 후 스트레스 및 디스트레스 영향 요인
3.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및 디스트레스 영향 요인

Ⅲ. 연구방법
1. 분석대상
2. 측정도구
1) 종속변인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척도(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hecklist for DSM-5: PCL-5)
(2) 우울
(3) 자살경향성
(4) 불안
(5) 불면증
2) 영향변인
(1) 인구사회학 요인
(2) 생활사건 체크리스트(Life Event Checklist; LEC-5)

Ⅳ. 분석방법

Ⅴ. 연구결과
1. 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2. 인구사회학 정보
3. 북한 및 탈북과정에서의 외상 사건 빈도
4. 외상 후 스트레스 및 디스트레스 잠재프로파일 분류 및 특성
5. 외상 후 스트레스 및 디스트레스 양상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

Ⅵ.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