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데탕트 이후 영화의 한국전쟁 재현 양상에 대한 연구- 더글라스 맥아더 혹은 인천상륙작전 관련남한, 북한, 미국 영화를 중심으로
... 그대로 반영됐다. 한편 북한은
lt;인천
gt;이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고 봤고, 인천상륙작전은 아군(북한군)의 퇴로를 마련한 성공적인 작전이라고 주장했다. 이 같은 생각은
lt;
월미도
gt;에 반영되었는데, 이 영화에서 북한군은 인민성을 바탕으로 일체감을 형성하여 맥아더 장군의 5만 대군과 대결하며,종국에는 죽어도 죽지 않는 혁명적 낭만주의를 제시하게 된다. 이들 영화들은 모두다양한 관점에서 인천상륙작전과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을 해석하고 있지만, 그것들이 모두 자국의 패권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제시된다는 점에서 볼 때 근본적으로한국전쟁과 냉전의 양극체제를 반성하지 못하는 공통된 한계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