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월북예술인 김태진과 발굴희곡 <임진왜란>(1946) 고찰
...‘민족연극’을 주장했던 그의 연극론과 작품 <임진왜란>을 해석하는 근거들이 되어 준다. 김태진의 <임진왜란>은 당시 좌익연극인들의 신념에 입각하여, 기록과 고증에 따른 ‘사실(事實)’로서의 역사가 아니라 진보적인 연극이 나아갈 ‘전망’을 제시하는 연극으로 재현되었다. 진보적 리얼리즘을 창작론으로 하여, 조선 사회의 오래된 병폐를 적나라하게 재현하고 새로운 역사의 혁명적 세력을 백성과 민중에게서 찾았다. 해방기 조선사회가 호출한 이순신은 왜적이라는 국가 외부의 적보다 권력쟁투에 몰두하는 지배계급과 당쟁으로 점철된 조정에 의해 희생당하는 외로운 영웅이다. <임진왜란>은 400년 전 임진왜란 당시의 과거를 향한 시선이 연극적으로 재현된 것이지만...
[학술논문] 해방기 창작 창극과 국민/여성
...광주 지역에서 결성된 조선고전음악연구회는 <건설하는 사람들>(1945)을 여러 지방에서 공연했고, 북한 지역에 유사한 이름의 단체가 조직된 즈음 사라졌다. 서울에서 결성된 국극사는 농민의 갈등을 경희극풍으로 다룬 <청산도 절로 사람도 절로>(1946)를 공연하며 일제 말기에 인기를 끈 박귀희의 여창남역 표현술을 재활용했다. 창극이 민족오페라로 불린 정부수립기에는 (역사)설화 소재작들이 공연되었는데, 항일을 행하는 여성을 앞세운 경우와 일제 말기의 화제작을 재공연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국극사의 <선화공주>(1948)는 여성 주인공을 내세웠고, 조선창극단의 <의기 논개>(1948)와 김연수창극단의 <임진왜란과 계월향>(1949)은 전쟁터에서 ‘충의’을...
[학술논문] 도선사 관음보살좌상을 통해 본 18세기 서울지역으로의 불상 이운 배경: 북한산성 승영사찰 개창을 중심으로
...1733년에 진관사로 이운된 것을 알려주며, 불상을 조성했던 조각승은 승호를 포함한 5명임을 알려준다. 조각승 승호는 17세기 후반부터영남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대표적인 조각승으로 이 관음보살좌상의 조성은 현재까지 밝혀진 승호의 가장 이른 기년명 작품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관음보살좌상>에서 발견된 이운 기록이 흥미로운 점은 불상의 조성과 이운을 통해 당시 18세기 조선 후기 불교계가 처한 상황이 잘 반영하기 때문이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그리고 그 전란의 복구 과정에서 증명된 승려집단의 조직력은 조선의 왕실과 사대부층이 불교에 대한 우호적인 시선을 가지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승군을 중심으로 서울과 지방 주요 거점 지역에 대한 방위 체제를 정비하게 되었으며, 그 방비 체제의 핵심이 1710-1711년...
[학위논문] 북한 역사소설 연구
...대중의 통일체 중심으로 변모된다. 또한 문학 예술의 민족적 형식이 강조되어 자기 민족의 미감과 요구에 맞고 자기 민족이 좋아하는 형상수단과 방법으로써의 형상 기교도 강조된다. 1970년대 이후부터 주체주의 사실주의의 사상 이론적 기초가 마련되는데 항일혁명투쟁 시기를 강조하고 북한이 주장하는 불후의 고전적 명작인 <불멸의 역사>와 <불멸의 향도> 총서 등이 등장하기에 이른다. 이 시기에는 사회 정치적 생명체가 문학의 형상 원칙이 될 것을 강조하고 어버이로서의 수령 창조를 주요 문학의 과제로 삼았다. 또 한편으로는 대중적 영웅주의인 숨은 영웅 형상을 창조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 시기 작품의 종자에 대한 올바른 이해도 요구되는데 종자는 작품의 핵으로 작가가 말하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