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데탕트 이후 영화의 한국전쟁 재현 양상에 대한 연구- 더글라스 맥아더 혹은 인천상륙작전 관련남한, 북한, 미국 영화를 중심으로
...시대적 분위기와 공명하고있는
lt;
충돌
노선
gt;과
lt;전웅 맥아더
gt;는 좀 더 사실적인 관점에서 더글라스 맥아더 장군을 재현했고, 이를 통해 장군으로 대변되는 군대의 활동과 트루먼 대통령으로대변되는 정치의 활동을 균형감 있게 제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들 영화에서 아시아인의 주체성은 억압되었고, 한국전쟁은 오로지 미국의 패권을 유지하기 위한세계 전략 중 하나로 해석되었다. 아시아인의 주체성은 통일교 자본으로 만들어진
lt;인천
gt;을 통해 복원된다. 이 영화의 보이지 않는 감독으로 활약한 문선명은 냉전기 긴장 완화를 지지하는 미국의 정책과 시대적 분위기를 비판했다. 그는 아시아와미국의 공조를 통해 공산주의를 척결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이 같은 생각은
lt;인천
gt;의 팔미도 등대작전 장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