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사(戰士)형 여성상으로 본 1950년대 북한연극의 젠더체계 - <탄광사람들>(1951)을 중심으로
본고는 한국전쟁 발발 이후 여성 영웅이 발견되는 과정과 함께 드물게 여성 주인공이 전경화된 한봉식의
lt;
탄광사람들
gt;(1951)을 중심으로 전쟁기 북한의 젠더 전략이 작품 내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규명한다.
lt;
탄광사람들
gt;은 기술자에서 빨치산으로 거듭나는 여성 주인공과 인민의 연대기를 다룬 희곡으로, 드물게 여성을 전면에 내세웠다는 점에서 북한의 젠더정치 방식이 문학적으로 극화되는 양상을 살펴보기 적합하다. 그런데 여성의 몸은 숭고한 희생제의의 핵심요소가 되며, 성고문은 여성이 영웅으로 격상되는 결정적 과정이 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극 중 여성 주인공은 여성과 남성이 다를 바가 없다고 재차 강조하고 남편은 그녀를 전우로서 존경한다고 말하지만, 그녀의 성별은 고문을 당할 때,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