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남조선민주여성 대표단으로 참가했다. 그런 인연도 있었지만 김원주는 노동신문 국제면 편집주간으로 여성 최초로 신문편집의 실력자였다.
김현숙(1953년), 우인희(1956년), 성혜림(1958년)은 거의 같은 시기의 영화에 출연하면서 배우생활을 시작해서 서로 의지하는 친근한 사이였다. 오랜 선배들인 문예봉, 김효정(오병초의 전처)들이 김정일의 퇴출로 철도연극단으로 좌천됐을 때 그들은 연극단에 찾아가 위로의 인사를 하기도 했다.
- 「2 영화 시사회」 중에서
● 내가 영화배우 김현숙을 처음 만난 것은 우연이다. 1961년 11월 평양철도 보통강역이었다. 집이 근처여서 남포에서 들어오는 열차를 타고 평양역으로 출근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녀는 몇 달 전 영화 〈벗들이여 우리와...
[정치/군사]
...앵글과 조명, 주변 배경, 음향효과 등은 문혁 시기 영웅 인물을 묘사하는 연출기법과 유사하다. 왕청은 하늘을 배경으로 고지 위에 당당히 서 있으며, 그의 실루엣은 빛을 받아 더욱 상징적이고 숭고하게 표현된다. 폭탄봉을 든 그의 모습은 단순한 전사 이상의 존재로 형상화되며, 혁명과 조국을 위해 희생하는 영웅적 전사의 이상적 이미지를 구현한다. (…) 왕청의 죽음은 소설 속 샤오류처럼 두 다리를 잃어야만 하는 전쟁의 참혹함도 없고, 동생 왕팡의 눈물조차 허락되지 않는다. 영웅의 죽음이 이렇게 비현실적이고 낭만적으로 처리되는 방식은 ‘17년 시기’ 전쟁영화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학술논문] 전쟁의 정치적 변용 - 50~60년대 ‘항미원조’ 전쟁영화를 중심으로 -
...냉전문화 구성 과정 및 그 균열지점을 짚어보았다. <상감령(上甘岭)>·<기습(奇袭)>·<영웅의 아들딸(英雄儿女)>은 항미원조 전쟁을 다룬 ‘17년 시기’의 대표적 작품으로서 제작년도(1956년, 1960년, 1964년)의 사회적 동향을 반영하여 각각 상이한 각도에서 대중정치를 작동시키는 방식을 보여준다. 동일한 전쟁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기억하는 주체에 따라 전쟁의 양상은 판이하게 달라진다. 한국전쟁은 1차적 당사자인 남․북한 외에도 미국과 중국, UN 연합국이 참여한 국제전으로서 각국에서 한국전쟁 이미지는 판이하게 다르다. 한국전쟁은 그 누구의 승리랄 수 없이 휴전협정으로 막을 내렸지만 중국에서는 그간 항미원조 전쟁에서 ‘위대한...
[학술논문] 건국 17년 시기(1949〜66) 중국 문단의 북한문학 비평 연구
본고는 중국의 외국문학 연구사 측면에서 건국 17년 시기 중국에서의 북한문학 비평이 지니고 있는 가치를 조명하고자, 말뭉치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북한문학 평론과 독후감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먼저, 북한문학에 대한 陶炳蔚의 평론을 중심으로 하여 중국에서의 북한문학 비평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그 당시 북한문학 평론이 중국 문학계의 문예이론 구축과 인민문학 개념 정립 및 중국 내 외국문학 연구 이론 구축을 위한 비평이었고, 정치적 환경과 새로운 국가적 이론 모색에 대한 그 당시 지식인들의 응답이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다음, 북한문학에 대한 중국인 독자들의 독후감을 분석함으로써, 독후감 텍스트가 신문이라는 교육적 장을 통하여 중국인 독자들이 북한의 사회, 문화, 정치, 경제를 이해하는 데 적극적인...
[학술논문] 건국 17년 시기(1949〜66) 중국 문단의 북한문학 비평 연구
본고는 중국의 외국문학 연구사 측면에서 건국 17년 시기 중국에서의 북한문학 비평이 지니고 있는 가치를 조명하고자, 말뭉치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북한문학 평론과 독후감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먼저, 북한문학에 대한 陶炳蔚의 평론을 중심으로 하여 중국에서의 북한문학 비평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그 당시 북한문학 평론이 중국문학계의 문예이론 구축과 인민문학 개념 정립 및 중국 내 외국문학 연구 이론 구축을 위한 비평이었고, 정치적 환경과 새로운 국가적 이론 모색에 대한 그 당시 지식인들의 응답이었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다음, 북한문학에 대한 중국인 독자들의 독후감을 분석함으로써, 독후감 텍스트가 신문이라는 교육적 장을 통하여 중국인 독자들이 북한의 사회, 문화, 정치, 경제를 이해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