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조령출 윤색본「춘향전」의 수용과 윤색의 양상
이 글은 조령출 윤색본「춘향전」에 나타난 수용과 윤색의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조령출 윤색본「춘향전」은 완판84장본을 기반으로 윤색한 것이다. 그러나 완판84장본의 내용을 수용하면서도 북한의 주체의식을 표현하기 위해 세부적인 윤색을 많이 했다. 본고에서는 북한 1991년본을 중심으로, 1980년본과 2007년본 두 판본을 참고자료로 삼고 작품에 나타난 문체의 음악적 성격에 대한 표현과 등장인물 중 춘향과 변학도의 형상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춘향전」은 생성될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고정된 형식과 내용을 가지는 작품이 아니다. 시대와 환경의 변화, 심지어 창자와 관중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화할 수 있는 작품이다. 고전작품으로서의 가치가 충분히 인정되면서도, 현대사회에서「춘향전」은 여전히 자신만의 개방성과...
[학술논문] 1991년 북한에서 출판한 중역본(中譯本) <춘향전>의 저본의 성격과 번역양상에 대한 고찰
...is to study a Chinese translation of <Chun-hyang Jeon 춘향전> as published in North korea, 1991. The translator is not marked, and the original text used was Cho Ryeong-chul(조령출)'s adaptation of <Chun-hyang Jeon> which published in North Korea, 1980. Cho Ryeong-chul's <Chun-hyang Jeon> was a adaptation of the traditional <Chun-hyang Jeon 춘향전>, published in Jeonju (전주, 완판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 Cho Ryeong-chul...
[학술논문] 한국창극사를 통해서 본 해방공간 창극 연구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 당시의 창극은 배역을 나눠서 판소리를 부르는 것과 같은 판소리 입체창과 비슷하였다. 당시는 앞과장, 뒷과장이라 해서 앞과장에서는 종래 하여 왔던 무용, 노래, 기악연주(器樂演奏), 땅재주 등을 하고, 뒷과장에서 창극을 했다. 그래서 <춘향전>이면 그것을 3일에 걸쳐 나눠서 했다. 창극은 그런 식으로 시작된 것이다. 1934년 ‘조선성악연구회’가 만들어지고, 이 단체에 의해 비로소 1936년부터 <춘향전>, <흥부전>, <배비장전>, <유충렬전> 등과 같은 작품을 한 번 공연에 모두 공연하는 이른바 ‘전편(全篇) 창극’이 이뤄졌다. 이때는 김창환을 이어 송만갑, 이동백, 김창룡, 정정렬 등 근대의...
[학술논문] 남북한 춘향전 영화를 통해 본 <춘향전>의 국민문학적 의미
...영화인 <춘향전>과 <성춘향>은 국민국가의 문화적 정체성 즉 한국적인 것을 구성하기 위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제작되었는데 모두 장면화와 시각화에 있어서 식민지 시기에 제작된 춘향전 영화들을 참조한 흔적이 엿보인다. 북한에서 제작된 춘향전 영화들 역시 등장인물들의 형상화와 장면화를 일부 사회주의적 이념에 맞게 수정, 변형시켰지만 기본적으로 식민지 시기부터 제작된 춘향전 영화들의 익숙한 장면화를 반복했다. 결과적으로 근대화 이후 혁신과 변화를 추구해왔던 한국 사회에서, 춘향전 영화들은 전통에 대한 페티시즘이라고 불릴 수 있을 정도로 비슷하게 정형화되어 제작되어 왔다. 즉 해방 후 남북한 춘향전 영화들은 예술 작품으로서의 혁신과 새로움보다는, 익숙함을 추구했는데 이러한 특징은 춘향전 영화의 특별한...
[학술논문] 신상옥 연출 남북한 『춘향전』 원작 영화 속 몽룡 ‘ 들 ’- 정치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캐릭터성격화’
이 글은 신상옥이 남북한에서 각각 연출한 『 춘향전 』 원작 영화들을 ‘ 몽룡 ’ 캐릭터에 주목해 분석하려는 시도다 . 사실상 그들 영화는 남북한 정치사의 체제 전환기에등장했다 . 대한민국에서 연출한 < 성춘향 > 은 이승만 정권이 붕괴한 이후 , 제 2 공화국시기에 제작되었고 , 북한에서 연출한 < 사랑 사랑 내 사랑 > 은 김일성에서 김정일로의권력 이양기에 제작되었다 . 그러한 정치사적 변화에 주목해 보면 , 몽룡의 성격화 과정에 당대 남북한 사회가 배태한 ‘ 권력자상 ’ 이 읽힌다고 할 것이다 . 먼저 < 성춘향 > 속 몽룡은 춘향의 헌신적 포용과 희생에 낭만적 순정으로 보은하는사적 연인의 이미지가 강하다 . 몽룡에게서 권력자로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