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장』 개작의 의의: 폭력에 대한 인식의 변화
...부분이 있다. 이에 마지막 국면에서 이명준의 행방불명이 그 필연성을 담보하지 못한다. ‘문지사1’판과 ‘문지사7’판으로 대표되는 개작의 과정에서 폭력에 대한 성찰이 부각되면서 유기적인 서사가 구성된다. 그리하여 이명준의 행방불명이 현실 세계에 대한 비극적 인식을 드러내는 표지로 집약되면서『광장』의 총체적인 의미가 만들어진다. 최인훈은 힘없는 사람들의 표징으로서 한 이야기의 주인공을 작품으로 떠나보냈다고 하였다. 그런데 작가는 주인공이 살았던 때와 다르지 않은 정치적 구조 속에 여전히 살고 있는 까닭에 그 주인공을 잊어버릴 수 없다는 것이『광장』 개작의 변이다. 그런 점에서 『광장』 개작은 ‘『광장』의 현재성’을 위한 작가의 고투로 볼 수 있다.
[학술논문] <광장>의 낙원회귀 고찰
...광장>의 개작을 통해 최인훈이 낙원회귀 지향을 강화하고 있는 이유를 크게 세가지로 파악할 수 있다. 첫째는 국내의 역사적 상황의 변화 속에서 최인훈이 점차 역사보다신화를 신뢰하게 된 것이고, 둘째는 국외 생활을 통해 경험한 미국문화의 충격 속에서 ‘미국의아담’이란 낙원회귀 신화의 영향을 받은 때문이다. 셋째는 최인훈이 북한에 고향을 둔 ‘전후신세대 월남작가’로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고향회귀의 갈망을 해소하고자 신화적 맥락의 낙원회귀를 선택하고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