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韓㳓劤의 韓國史學 方法論에 대한 고찰
...대한 인식내용을 분석하여, 민족의 역사성을 중요시하고 한국민족의 역사공동체로서의 성격을 강조하였으며, 한국사에서는 민족과 국민이 일치성을 지닌다고 파악한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사의 주체성을 중시하면서 이른바 事大主義論은 그 개념과 용어 자체를 否定하였던 것이다. 셋째로 史觀과 연구방법에 대한 그의 입장과 견해를 분석 검토하였다. 우선, 그는 實證史學에 대하여, 그것이 한국사학을 근대사학으로 진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높게 사면서도, 역사가의 主觀을 인정치 않고, 종합적 판단이나 의미 부여에 무관심했다는 점에서 비판하였다. 民族主義史學에 대하여는 조심스럽게 그 혁신성과 주체성을 인정하면서도 학문적으로는 저항으로서의 역사가 지니는 문제점을 들어 錯雜性을 내세워 신중한 태도를 나타냈다...
[학술논문] 한국전쟁 직후 남북한 전통음악연구 배경과 양상
...이러한 배경 하에 전통음악의 연구 경향도 다른 점을 보였다. 남한은 이혜구(李惠求) · 장사훈(張師勛) 등의 개인적인 연구로 두드러졌는데, 그들은 문헌과 고악보라는 기록물을 바탕으로 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따라서 궁중음악 중심의 연구가 토대가 되었고 민속악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경향을 띠었다. 이런 연구방법을 후대에 실증사학(實證史學)적 방법론이라고 하여 긍정적이라고 평가되고 있지만, 그때까지는 고고학이나 역사학 · 민속학 등이 적절히 결합되지 못한 한계를 가졌다. 북한은 ‘과학원’(科學院)의 연구정책과 관련하여 역사민속학(歷史民俗學)적 방법에 의한 고분벽화(古墳壁畵)의 악기와 연주도(演奏圖) 분석을 통해 고대음악사를 해명하려했던 경향이 두두러졌음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