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과나눔 컨퍼런스] 비정치적/비영리적인 분야에서의 소통과 교류 ㅣ “2022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세션 3ㅣ 한반도 평화와 사회문화 통합: 2022년의 도전과 기회"
박명수 GIST 초빙석학교수(서울대 사회학과 명예교수)는 4월 29일 재단법인 통일과나눔이 주최하고 한반도평화연구원이 주관한 ‘대전환의 한반도,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 컨퍼런스에서 ‘한반도 평화와 사회문화 통합: 2022년의 도전과 기회’라는 제목으로 주제 발표를 진행하며 통일과 통합으로 가는 과정에서의 사회문화 교류협력의 중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전우택 연세대 의과대학 교수와 김성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가 토론자로 참여하였습니다.
▶ 주제발표 : 세션 3. 한반도 평화와 사회문화 통합: 2022년의 도전과 기회
▶ 일시 : 2022년 4월 29일
▶ 주최/주관 : 재단법인 통일과나눔/한반도평화연구원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남북한이 함께할 수 있는 길은?ㅣ“2022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세션 2ㅣ 남북관계의 잠정 목표로서의 경제통합"
김병연 교수(서울대 경제학부)는 4월 29일 재단법인 통일과나눔이 주최하고 한반도평화연구원이 주관한 ‘대전환의 한반도,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 컨퍼런스에서 ‘남북관계의 잠정 목표로서의 경제통합’라는 제목으로 주제 발표를 진행하며 “현재와 미래 통일의 중간 다리로 경제 통합”을 제안했습니다.
양문수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와 세종연구소의 최은주 박사가 토론자로 참여하였습니다.
▶ 주제발표 : 세션 2. 남북관계의 잠정 목표로서의 경제통합
▶ 일시 : 2022년 4월 29일
▶ 주최/주관 : 재단법인 통일과나눔/한반도평화연구원
▶ 사회 : 권은민...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초당적 남북통합정책 추진이 장기적 통일 지향하는 길 | “2022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ㅣ 이영선 이사장 개회사
"저는 우리가 각자의 이념과 정치적 입장을 떠나 통일에 대한 정책 기조를 초당적으로 합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평화와 번영, 민주주의와 인권과 인도주의 등 보편적 가치를 바탕으로 초당적 통일정책을 확립하고 이를 정권에 관계없이 추진해 나가는 것이 장기적으로 한반도의 통일을 지향하는 길이라 생각합니다."
2022년 4월 29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진행된 "2022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 이영선 이사장님의 개회사 영상입니다.
[2022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
▶ 일시 : 2022년 4월 29일
▶ 주최/주관 : 재단법인 통일과나눔/한반도평화연구원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동서독이 통일할 수 있었던 이유?ㅣ“2022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세션 1ㅣ 한반도 통일: 원심력과 구심력의 관점을 중심으로
윤영관 전 외교통상부 장관(서울대 외교학과 명예교수)은 4월 29일 재단법인 통일과나눔이 주최하고 한반도평화연구원이 주관한 ‘대전환의 한반도,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 컨퍼런스에서 ‘한반도 통일, 원심력과 구심력의 관점을 중심으로’라는 제목으로 주제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한반도 통일문제를 남북관계 및 한반도 주변 국제정치학적 맥락에서 분석하고 통일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유호열 고려대 북한학과 명예교수와 한국국방연구원의 조비연 박사가 토론자로 참여하였습니다.
▶ 주제발표 : 세션 1. 한반도 통일 : 원심력과 구심력의 관점을 중심으로
▶ 일시 : 2022년 4월 29일
▶ 주최/주관 : 재단법인...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2022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격변과 대전환의 한반도,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
...: 대전환의 한반도,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를 개최한다.

이번 컨퍼런스는 오는 5월 새정부 출범에 즈음해서 미중 경쟁 심화와 남북 및 미북 대치격화 등 격변하는 한반도 정세와 우리 내부의 통일에 대한 인식변화를 짚어 보고 그런 상황속에서 한반도 통일과 미래비젼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
<2022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대전환의 한반도, 통합으로 통일을 연다
[뉴스] 北 '이공계 명문' 김책공대, 내달 과학기술 국제토론회 개최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북한 최고의 이공계 종합대학으로 꼽히는 김책공업종합대학(김책공대)이 다음 달 과학기술 성과를 교류하는 국제학술토론회를 연다.
김책공대는 최근 웹사이트에서 '과학기술-발전의 동력, 전략적 자원'을 주제로 하는 국제학술토론회를 다음 달 평양에서 개최한다고 알린 것으로 13일 확인됐다.
[뉴스] 북, 내년 4월 '김일성 생일' 기념 온라인 국제예술축전 연다
북한이 김일성 주석 생일을 기념하는 국제 예술 행사를 내년 4월 연다.
10일 북한 내각 문화성이 운영하는 '조선예술' 홈페이지에 따르면 '제34차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이 내년 4월 1∼30일 평양에서 개최된다.
[뉴스] 현대硏 "개성시, 새 남북 협력 질서 설계할 전략적 시험장"
현대경제연구원은 개성시가 과거 남북 협력 단절을 넘어 새로운 협력 질서를 설계할 수 있는 전략적 시험장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원은 2일 '북한 정책 수요에 기반한 남북 협력 단계적 재개 방안'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뉴스] 北, 내달 20일 최고인민회의 개최…예고 안건에 개헌 없어
북한이 다음 달 남쪽의 국회 본회의 격인 최고인민회의를 연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19일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제14기 제37차 전원회의를 열고 다음 달 20일 제14기 제13차 회의를 소집하기로 결정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0일 보도했다.
[뉴스] EU, 中에 '우크라 휴전' 역할 촉구…"러·북에 영향 행사해야"(종합)
(브뤼셀·베이징=연합뉴스) 정빛나 정성조 특파원 = 유럽연합(EU)은 중국이 러시아의 최대 우방으로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해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24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중국 베이징에서 시진핑 국가주석, 리창 총리와 각각 회담한 뒤 연 단독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푸틴의 전쟁과 어떻게 계속해서 상호작용하는지가 우리(EU와 중국) 관계의 미래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문화]
통일부는 법에 따라 2000년도부터 연 단위 통일교육 기본계획 수립을 하였다.
[통일/남북관계]
도서 PDF 받기:_현대북한연구 27권 2호(2024)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에서 연 3회 발간하는 『현대북한연구』는 북한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 역사, 문학, 철학, 과학사 등 인문사회과학을 아우르는 북한 관련 종합 학술지로서 학문 후속 세대를 양성하고 북한 연구를 심화, 발전시키기 위한 목표를 가지고 1998년에 창간되었다.
[통일/남북관계]
한반도 위기부터 양안관계 갈등과 기후재난까지,
대혼란의 세상을 바꿀 평화적 해법은?
지금의 한반도와 세계는 그야말로 혼란과 혼돈의 연속이다. 우크라이나와 중동에서 끝을 알 수 없는 전쟁과 충돌이 계속되고 있으며, 대만해협을 사이에 두고 양안관계의 긴장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져가고 있다. 오물풍선, 대북전단 등으로 남북관계는 평화와 통일이 아닌 대치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거기에 기후위기의 영향이 세계 곳곳을 재난적 상황으로 만들어가고 있다. 전 세계적 위기의 본질은 무엇이며 어디서부터 해법의 실마리를 풀어야 할까? 평화네트워크와 함께하며, 학계, 언론, 국제기구, 시민사회단체 등 사회 곳곳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활동하는 14인의...
[통일/남북관계]
최근 우리 사회에서 통일에 대한 열망이 식어 가고 있다. 분단의 역사가 길어지고, 북한의 도발 행위가 끊이지 않으며, 현실 생활을 우려하는 젊은 세대의 개인주의적 사고가 퍼져가기 때문인 듯하다. 하지만 통일은 그렇게 쉽게 포기해 버릴 과제가 아니다.
통일독일의 사례가 보여 주듯이 한반도의 통일은 우리에게 평화와 번영을 보장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는 평화공존을 내세웠지만 지금 우리는 북한의 핵위협에 시달리고 있다. 통일을 지향하지 않는 평화공존은 지속가능하지 않다. 평화를 추구하되 장기적인 목표인 통일을 지향함으로써 지속가능한 평화를 추구해야 한다.
물론 지금의 여건으로 통일을 단기적으로 이루기는 어려울 것이다. 미국과 중국의 갈등으로 빚어지는 신냉전 구도가 한반도 통일에
[정치/군사]
독일통일 총서29
연방수상청 분야 관련 정책문서
도서 PDF 받기: 독일통일 총서 29-연방수상청 분야
[학술논문] 김동립 소설의 자유 담론
...도저히 전모를 파악할 수 없는 압도적이거나 음험한 존재로 ‘국가’를 표상한다. 이러한 국가 표상은 김동립 소설에서 추상적으로나마 당대 현실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국가 폭력’을 문학적 아젠다로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당대에 4․19를 형상화한 몇 안 되는 소설 중 하나인 「연대자」는 『사상계』를 비롯한 당시의 보편적인 반공 인식과 등장인물의 심층적인 맥락을 살펴 신중하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4․19를 경험한 ‘홍태’의 자살은 결과적으로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는 4․19의 외침을 최소한의 개인(individual)적 차원에서 실천한 행위가 되었으며 홍태의 두 번째 죽음은 남북한...
[학술논문] 『中國歷史地圖集』의 戰國時期 燕 長城 고찰
『中國歷史地圖集』에 제시된 燕 長城을 검토하였다. 특히 한반도 중북부지역까지 연결시킨 연 장성의 실체를 분석하였다. 燕 長城은 요하이동지역에서 고고학적으로 그 구체적인 실체를 밝혀내기에는 그 근거가 충분치 않다.『地圖集』에 제시된 요동지역, 한반도지역의 燕 長城 노선은 당시의 사료에 나타난 상황과는 부합하지 않는다. 당시 사료에 障塞, 障으로 기록된것을『地圖集』에서는 長城이라고 해석하고 이를 표기하였다. 하지만 이와같은 해석은 무리가 있다. 장성과 장새, 장은 당시에 다른 개념으로 인식 사용되고 있었다. 『地圖集』에 구체적으로 제시된 燕 長城 노선도에 문제가 있다. 고고학적인 근거가 전혀 뒷받침되지 않았다. 압록강을 건너 한반도 중북부지역까지 연결시킨 燕 長城은 이를 뒷받침할 만한 학술적인 근거를 찾기가 어렵다...
[학술논문] 표기 규범과 문자 ―한자어의 표기 원리―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의 여러 표기 규범에서 한자어의 표기 방법이 어떻게 변해 왔으며, 그러한 변화 과정에 바탕이 되어 있는 원리는 무엇이며 그러한 원리를 어떻게 표기 규범에서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간단하게 살펴본다. 2장에서는 근대적인 표기 규범이 만들어진 이후 고유어와 한자어가 어떻게 표기되어 왔는지를 크게 남한의 표기 규범, 북한의 표기 규범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기본적으로 북한의 표기 규범에서는 한자어를 고유어와 구별하여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남한의 표기 규범에서는 고유어와 한자어를 따로 구분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3장에서는 한자어 표기 원리가 구체적인 규정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보기 위해서 한자어 표기에 관련된 몇 가지 논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주로 ‘ㅖ’
[학술논문] 북한 청소년들의 과외체육소조 활동의 변화
본 논문은 청소년 체육의 대중화, 생활화 정책의 대표적인 활동인 청소년들의 과외체육소조활동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945년 정권 초기부터 1950년까지 1차 태동기, 1953년 한국전쟁 이후부터 1974년까지 2차 태동기로 보았다. 이 시기에 북한 정권은 청소년 체육의 대중화, 생활화 정책을 시도하였지만 성공하지는 못하였다. 북한 청소년의 과외체육소조활동이 본격적으로 발달했던 시기는 1975년에 11년제 전반적의무교육 실시로 청소년들의 학교 집단생활이 강화된 시기부터 1994년 고난의 행군 이전까지로 보았다. 북한 정권은 모범체육군, 모범체육학교 칭호 수여, 각종 체육대회를 장려하였기 때문에 학교뿐만 아니라, 도, 시, 군 등에서도 과외체육소조활동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있었다. 그러나 1994년...
[학술논문] 遼東~西北韓地域의 細形銅劍文化와 古朝鮮 -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과정과 관련하여 -
...합구식 옹관묘 등이 확인되고 있다. 이는 전국말~전한초의 위만집단과 관련된 요소들일 가능성이 있다. 위만조선 최고 지배층은 철제무기와 거마구로 정치적인 권위를 표현하였는데, 거기에는 燕系와 漢系의 전통이 섞여 있었으며, 이후 匈奴系 문물까지 수용하여 대외 교류의 정점을 이루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낙랑 초기 자료에는 위만조선의 물질문화가 일부 포함되어 있다. 고조선에 대한 고고학적 연구들은 주로 한반도의 세형동검문화에 집중되어 왔다. 고조선의 중심지 이동설을 고려하면 요동지역의 세형동검문화 요소들이 서북한지역에 출현하는 양상들이 주목된다. 또한 서북한지역에서 요동계와 한국계의 세형동검문화 요소들이 복합되며, 이와 함께 燕․秦․漢系 철기문화 요소들이 추가되는 것이 위만조선 물질문화의 형성 과정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