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7세기 수도권 방어체제 정비와 총융청의 위상 변화
...진무영, 관리영 등 별도 군영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방어 체제를 정비하였다. 그 결과 총융청은 경기 서부 내륙 방어를 담당하는 내・외영 편제의 군영으로 재편되었다. 숙종대 후반에는 청 해적의 위협과 보장처의 실효성 논란 속에서 도성 수비 강화가 추진되었다. 중앙군영 군제의 재편 과정에서 총융청 역시 편제가 정비되었으나, 유사시 내영과 외영의 대규모 병력이 집결할 거점 마련은 여전히 과제로 남았다. 이때 북한산성이 축성되고 탕춘대가 배후기지로 정비됨에 따라, 총융청은 이를 신지(信地)로 확보해 도성과 경기 서북부 외곽 요충지를 연결하는 중추 군영으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18세기 수도권 방어체제를 도성 수비 중심으로 전환하는 결정적 기반이 되었고, 총융청은 그 전환의 핵심 매개로서 새로운 위상을 갖게 되었다.
[학술논문] 남한지역 高麗時代 城郭 築城과 年號銘 기와의 聯關性
고려성곽 명문기와는 성곽의 활용문제를 밝혀줄 중요한 금석문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年號銘 기와는 평기와의 편년 설정에 하나의 기준이 되는 자료이다. 따라서 고려성곽 명문기와는 현 남북한의 상황에서 고려시대 성곽의 축조 및 활용문제를 전반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자료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남한지역의 고려성곽에서 출토된 年號銘 기와의 성격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남한의 고려성곽에서 출토된 연호명 기와는 ‘峻豊四年’(광종 14년:963), ‘乾德三年’(광종 16년:965), ‘太平興國七年·八年’(성종 1·2년:982·983), ‘大平八年’(현종 19년:1028)&midd
[학술논문] 조선후기 남한산성의 조영과 승군의 활용
...제도적 운용은 전란 후 양인 노동력의 부족을 메꾸기 위한 현실적 방안으로서 국가의 부역 및 조세 정책과 연동되어 전개된 것이다. 조선후기 승군 제도의 운영과 승역의 확대는 인조대에 남한산성의 조영과 방비에 승군이 활용되고 벽암각성碧巖覺性이 팔도도총섭으로 임명되면서 제도화되었다. 남한산성은 임진왜란 때부터 서울의 보장처로서 주목되었고 후금後金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1624년부터 1626년까지 축성이 이루어졌다. 이때 다수의 승군이 동원되었고 팔도도총섭의 주관 하에 성내 사찰에 승군이 상주하면서 방어를 담당하게 되었으며 이후 북한산성北漢山城의 축성과 승군 운용이 남한산성을 모델로 이루어졌다. 이처럼 남한산성의 승군제는 승군 활용과 승려 자격의 용인이라고 하는 조선후기 불교정책이 제도화된 기점이었고 상징이었다.
[학술논문] 도선사 관음보살좌상을 통해 본 18세기 서울지역으로의 불상 이운 배경: 북한산성 승영사찰 개창을 중심으로
...거점 지역에 대한 방위 체제를 정비하게 되었으며, 그 방비 체제의 핵심이 1710-1711년 북한산성의 축성으로 귀결된다. 그리고 북한산성의 방비 및 산성의 유지를 위해 10여개의 사찰들을 새롭게 중창 되게 된다. 북한산성의 축성은 그 주변 일대 진관사와 도선사 등 사찰들이 중창되는 새로운 계기가 되었고, 승영사찰과 산성 아래 사찰들에 봉안되기 위한 다수의 불상들이 이운된 것이 현재까지 공개된 조성원문을 통해 확인된다. 이번 연구는 서울, 특히 강북일대 사찰들에 봉안된 조선 후기 불상들의 이운배경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다. 성북구, 동대문구, 서대문구, 은평구 등에 봉안되어있는 대부분의 불상들은 승영사찰의 축성으로 이운된 불상들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기존의 조선 후기 불교조각의 연구가 승려장인의 작가론에 입각한...
[학술논문] 일제강점기 淸津의 팽창과 정어리 어업
일제강점기 東海는 ‘일본의 內海’로써 대륙 진출을 위한 통로로, 그리고 魚族 자원 수탈의 장으로 활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동해안 지역에 다수의 항구 도시들이 출현하였고 팽창하였다. 이중 러일전쟁 당시 일본군의 군사 목적으로 개발된 이후 무역항으로, 어항으로, 그리고 공업도시로써 확장을 계속한 ‘식민도시’ 淸津의 모습은 매우 주목된다. 淸津의 확장에 있어 주목되는 점은 바로 정어리 어업과 도시 팽창과의 연관성이다. ‘정어리의 淸津’이라 불릴 만큼 정어리 어업은 淸津의 팽창에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1920년대 중반부터 급증한 정어리의 대량 回遊와 선진 漁法의 유입을 통한 정어리의 대량 어획, 그리고 1910년대 중반 이후 정어리 기름을 가공한 硬化油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