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한지역 高麗時代 城郭 築城과 年號銘 기와의 聯關性
고려성곽 명문기와는 성곽의 활용문제를 밝혀줄 중요한 금석문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그 중에서 年號銘 기와는 평기와의 편년 설정에 하나의 기준이 되는 자료이다. 따라서 고려성곽 명문기와는 현 남북한의 상황에서 고려시대 성곽의 축조 및 활용문제를 전반적으로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자료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남한지역의 고려성곽에서 출토된 年號銘 기와의 성격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남한의 고려성곽에서 출토된 연호명 기와는 ‘峻豊四年’(광종 14년:963), ‘乾德三年’(광종 16년:965), ‘太平興國七年·八年’(성종 1·2년:982·983), ‘大平八年’(현종...
[학술논문] 渤海 기와 硏究의 推移와 몇 가지 斷想
...3기(1980~90년대)는 연구가 급증하였으며 북한과 중국, 남한과 러시아의 공동조사 성과가 가시화된 시기이다. 특히 남 북한에서는 와당 분석을 통해발해 기와가 고구려와 통일신라의 영향을 받았음을 밝혔다. 4기(2000년 이후)는 중국의 동북공정이 본격화되면서 여러 나라에서 연구가 촉발되었으며, 조사지역도 연해주까지 넓어지고 기와의 명문 서체, 수막새 문양별 검토 등 연구가 세분화된 점이 특징이다. 선행 연구의 추이를 토대로 주요 논점을 살펴보면, 발해 기와의 종류와 용어 문제, 분류기준의 명확성 제시, 암키와와 암막새의 개념 문제, 발해사 상와당의 변천 과정, 기와의 상징성과 의례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논점이 단기간에 해결되기는 힘들겠지만, 점진적으로 연구된다면 발해인의 생활상을 복원하는데 큰 도움을 줄...
[학술논문] 북한산성과 행궁지의 조사 및 연구성과 재고
...되었다. 행궁지 조사와 연구는 북한산성과 함께 다루어져 왔는데, 2009년 행궁지 종합정비기본계획이 수립되었고, 그에 따라 2011년부터 정밀조사가 진행되었다. 조사결과, 내․외전지와 내․외 행각지, 추정 보각지 등이 확인되었고, ‘己巳’․‘辛訓’․‘戎’․‘別右’자 등의 명문기와가 출토되었다. 행궁지를 주제로 한 학술심포지엄도 2회 개최되었으며, 학위논문도 집필되고 있다. 가장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연구는 발굴성과를 분야별로 정리하고 분석하는 일인데, 여기에서는 네 가지로 나누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산성의 축조기법을 보다 면밀하게 연구해야 하겠다. 둘째, 축성에 참여한 기술자와 사용된 도구 및 장비의 발전 양상 연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