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소설가 한설야(韓雪野)의 ‘평화’의 마음(1), 1949년
이 글은 1949년의 시점에서 지구적 수준의 반핵·반전 평화운동에 북한대표로 참여했던 북한 소설가 한설야의 평화의 마음을 추적하려 한다. 즉, 한설야 개인이 1949년에 가지고 있던 평화의 개념을 찾는 작업이다. 1949년 파리평화대회를 전후로 한설야의 수필과 소설이란 형태로 고정되어 있는 텍스트가 한설야의 평화의 마음을 읽기 위한 주요 대상들이다. 이 글의 한 가설은, 평화에 대한 북한적 마음체계와 한설야 개인의 텍스트가 충돌하면서 균열할 수 있는 가능성이다. 즉, 한설야가 구조의 담지자이지만 개별적 마음을 가진 자율적 행위자로서, 집합적 내지는 평균적마음인 북한적 마음체계에서 이탈할 수 있는 문학작품을 생산할 수 있었는가에 대한 질문이다.
[학술논문] 韓雪野의 아동문학 연구 - 『금강선녀』를 中心으로 -
본고에서는 『금강仙女』가 바탕으로 삼고 있는 전통 說話 「나무꾼과 仙女」와의 차이점을 실증적으로 살펴본 후, 韓雪野의 다른 兒童小說인 「이상한 그림」이나 『형제』, 『성장』, 『버섯』과의 比較 檢討를 통하여 『금강선녀』의 文學史的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한설야 아동문학의 전반적인 성격을 규명하는 실마리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韓雪野는 『금강선녀』에서 이상적인 ‘우리’를 창조하기 위해 적대적인 타자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등단 초기에 쓰였던 「이상한 그림」에서도 이미 나타난 바 있다. 『금강선녀』에서는 국토의 심미화를 통하여 ‘우리’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금강선녀』에는 최종적인 가치규범의 담지자이자 행위의 최종...
[학술논문] 북한의 자료를 통해 재론하는 오체르크와 실화문학의 계보
... 전투기, 영웅전투기를 실화문학의 중요한기원으로 상정한 것을 보면, 실화문학은 북한인민군 중 실제 있었던 전쟁영웅의 행적을 그린이야기가 건국 이후 출발점이다. 김일성의 식민지 행적, 즉 항일혁명투쟁의 내용은 북한 건국이전 전쟁기 영웅을 형상화하려는 실화문학의 대상이 된다. 이 부분은 1952년 리효운이 처음에 오체르크를 도입할 때, 그리고 1954년 한설야의 평론에서도 이미 명확히 규정된 바 있었다. 결국 북한의 실화문학은 북한 초기에 등장한 문학장르 오체르크의 일부 특성을 계승하면서 인물 오체르크라는 형태를 중심으로 변화한 것으로, 사회주의적 애국주의가 가득한 북한‘영웅’의 실제 이야기를 작가, 즉 제3자가 형상화하는 것이며, 동시에 북한의 ‘수령형상문학’의형식적...
[학술논문] 북한문학의 지배 담론과 텍스트의 균열 양상 연구 - 해방에서 한국전쟁기까지(1945~1953)의 주요 작품을 중심으로 -
본고는 북한문학의 지배 담론과 실제 텍스트의 균열 양상을 고찰하기 위해 해방에서 한국전쟁기까지(1945~1953)에 이르는 양면적 평가의 대표 작품으로 한설야의 「모자」(1946), 이태준의 「호랑이 할머니」(1949), 김남천의 「꿀」(1951)을 선별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한설야의 「모자」(1946)는 발표 당시에 ‘조소 친선’이라는 주제의식이 긍정적으로 평가받지만, 소련군 병사의 동요하는 내면 등을 포함하여 작품 내적 리얼리티의 훼손이 비판된다. 이태준의 「호랑이 할머니」(1949)는 분단 이후 북한 사회 현실에서 문맹 퇴치 사업의 성과를 조명하지만, 인물 성격의 과장성이 비판되고 확대되면서 근로 인민에 대한 모독과 제도의 비방이라는 비난에 이르게 된다. 김남천의 「꿀」(1951)은...
[학위논문] 북한의 농민소설 연구 : 해방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를 중심으로
...있었다. 이 시기에는 과거의 프로문학 전통과 새로 제기된 항일혁명문학 전통이 공존하였으며, 창작 방법론으로서도 민족문학론, 고상한 리얼리즘론, 비판적 리얼리즘론, 사회주의 리얼리즘론에 대한 해석과 재해석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의 북한 문학을 실질적으로 이끌어나간 이기영, 한설야, 천세봉 등의 작가와 안함광, 한효, 엄호석, 김명수, 김헌순 등의 비평가에게 주목하였다. 이들 속에는 구 카프계 문인과 신예 작가 및 신진 비평가들이 뒤섞여 있는데, 바로 이 점 때문에 해방 직후부터 1960년대 초까지의 북한 문학이 이후 시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다양하고 풍요롭게 전개될 수 있었던 것이다.
북한이 창작 방법론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