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보이면서, 연구주제의 다양화 및 시기별 부침(浮沈)을 보여주고 있다. 1970년대까지는 가족기능, 전통적 친족제도 및 동족, 가족계획, 신라‧고려‧조선시대 가족 등을 주제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1980년대 이후부터는 가부장제에 대한 여성학적 논의, 가족주의, 성과 사랑, 부부중심적 가족관계의 특성, 주부의 삶에 대한 관심, 계급별 가족 특성, 가족문제 및 가족정책, 사회구조와 가족과의 관계 및 가족의 변화양상, 가족이론 및 방법론, 그리고 북한가족 등이 새롭게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 연구 주제로 부상하고 있다. IMF 외환위기를 거치며 21세기로 들어서면서는 가족을 바라보는 시선이 확장되면서 저출산 고령화와 연계된 위기의식, 결혼이주가족의 증가, 가족과 시장 나아가 가족과 국가의 관계 등이 가족사회학...
[학술논문]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과 남북협력
본 논문의 목적은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가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인 ‘비핵․개방․3000’과 같이 개점 휴업 상태에 빠지지 않고 정상적으로 작동되게 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남북간 협력(개성공단, 이산가족문제, 인도주의적 지원)을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본 논문은 먼저, 남북협력이란 무엇이며,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서는 남북협력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고 어떻게 추진해 나갈 것인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정부 출범 1년여를 맞이한 박근혜 정부 하의 남북협력을 2013년 동안 불거진 개성공단과 인도적 사안(이산가족문제, 대북지원문제) 등으로 분류해 그 의미, 현황, 과제(전망)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하의 남북협력의
[학위논문]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내·외부의 다양한 도전들에 대처하는 가족과정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이야기(내러티브)를 통해 탐색하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남북한의 분단 상황으로 인한 문화적 이질감은 통일 과정에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것이 예상되며, 남북한 사람들이 가족을 이루었을 때는 심각한 가족 문제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남북한 사람들, 북한이주민과 관련한 사회 및 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문화적으로 민감한 사회복지 실천적 대안 논의를 시작해 보고자, 남북한 이문화의 문제를 가장 대등하고 밀접하게 경험하는 남한주민과 북한이주민 부부를 대상으로 ‘그들의 가족과정 경험은 어떠한가?’와 ‘그 경험의 의미는 어떠한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여...
[학술논문] 탈북에서 입국까지의 기간 및 북송경험이 탈북 여성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는 탈북 여성의 제3국 체류 기간이 심리적 증상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하나원에 입소한 탈북 여성들을 대상으로 체류기간을 분류하고,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문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BPSI-NKR을 사용하여 하나원 입소 후와 수료직후의 검사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제 3국에 체류했던 기간은 외상후 스트레스, 우울, 음주문제, 가족문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북한을 탈출하여 국내로 입국하기까지 1년 미만 소요된 집단(n=153)과 7년이상(n=201) 소요된 집단(단기-장기)으로 나누어 심리적 안정성 회복 정도를 살펴봤을 때 PTSD, 우울, 신체화, 분노, 정신증, 음주문제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1년이내의 국내에 입국한 집단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