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오물풍선 사건을 계기로 본 북한 군사도발 양상의 전략적 진화와 한국의 대응 전략
연구는 2024년 북한의 오물풍선 도발 사례를 출발점으로 삼아, 북한 군사적 도발 양상의 변화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도발 양상을 예측하며, 한국의 전략적 대응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군사적 도발 개념과 전략환경 변화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구축하였으며, 이어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정권기에 나타난 도발 양상의 전략적 진화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의 군사적 도발은 정권의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일관되게 활용되어 왔으며, 전략환경의 변화에 따라 도발 방식은 점차 간접적이고 비대칭적인 형태로 전환되어 왔다. 특히 김정은 정권에서는 도발이 저강도·비가시적 양상을 띠며, 한국의 명확한 군사적 대응을 곤란하게 만드는...
[학술논문] 대(對)테러리즘 분야 연구경향분석:치안본부 대테러연구를 중심으로
국제사회는 서독 뮌헨올림픽에서 팔레스타인 테러조직 검은 9월단(Black September)이 이스라엘 선수단을 대상으로자행한 인질․납치․살해 테러리즘에 큰 충격을 받았다. 한국도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북한의 국가지원 테러리즘, 무력도발, 국지전 등의 위협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었다. 이에 한국 정부는 1982년 1월 대통령훈령 제47호「국가대테러활동지침」을 제정하여 국가 대(對)테러리즘 업무수행을 위한 필요 사항을 규정하였고, 국가안전기획부와 치안본부가 주무부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치안본부 시절 경찰의 대테러관련 역할을 고찰하고, 1983년부터 1990년까지 동 기관에서 발간한『대테러연구』의 학문적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는데, 이를 살펴보면...
[학술논문] 억제이론으로 본 대남도발 억제 실패요인 분석
...그들의 능력이 한국을 압도한다고 판단했을 때는 보란듯이 자신감 있게 직접적인 도발을 감행하였다.1968년이 그 사례일 것이다.그러나 그들 스스로 능력에 자신감이 떨어지면 테러 등의 형태를빌린 간접적인 형태를 취했다. 이 논문의 정책적 함의는 첫째,억제자인 한국의 억제 신뢰성을 빠른 시간내에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신뢰성의 실추는 억제자로서 시행하는 어떠한위협도 북한이 위협으로 인식하지 않는 공염불이 될 것이다.둘째,북한은 핵의무기화가 진전되면 될수록 그들의 힘,즉 능력에 자신감을 갖게 될 것이다.이는 과감한 도발을 서슴지 않고 자행할 개연성을 높여 줄 것이다.따라서 북한의 핵 개발 중지 및 불능화에 노력을 배가하여야 한다. 주제어 :대남도발, 억제이론, 도발, 억제자의 능력, 억제자의 의지 및 억제자의 신뢰성
[학술논문] 북한의 비대칭적 군사위협의 실제와 그 대응
비대칭전(Asymmetric Warfare)이란 교전국 당사자인 피아간 전력의 차이점을 자신에게는 최대한 유리하게 하고, 상대에게는 최대한 불리하게 만들어 전쟁에서의 승리를 쟁취하는 전쟁수행 개념으로서, 심리적 충격 및 붕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간접침략과 전력의 상대적 관계를 그 본질로 삼고 있다. 이러한 비대칭전의 개념은 앞으로의 전쟁수행 과정에서 사회 정치적 취약성(Scio-Political Vulnerability)과 함께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저자는 이러한 현대 전쟁양상의 변화 속에서 특히 걸프전 이후 강화되고 있는 북한의 비대칭적 군사위협의 본질과 성격을 규명하여 ① 건드리기만 해도 쉽게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위약요소의 즐비, ② 대응의지의 상대적 유약, ③ 내부 여론의 다원성과...
[학술논문] 북한의 4세대 전쟁 수행 전략과 대응방안
...면에서 심각한 경제난과 외교난을 겪고 있는 북한은 체제위협에서 벗어나는 것이 당면목표이지만 여전히 한반도 공산화 통일을 궁극적 목표로 하고 있으며, 둘째, 수단 면에서는 대남 사회적 혼란 조성을 위해 사이버 전력과 북한을 추종하는 네트워크화된 점조직등 다양한 비군사적 수단을 이용하고 있으며, 비대칭전력을 군사도발의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방법 면에서는 심리전 활동과 식별이 곤란한 간접전략을 통해 전면전의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거나, 정치적으로 정부의 붕괴를 추구하는 전복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북한의 4세대 전쟁 수행 수단인 네트워크화된 점조직과 사이버 전력에 대한 정부차원의 통합된 대응수단이 필요하며,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