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택동광장에서 개선문광장까지: 북중관계의 변화와 평양의 공간 재편
본 연구는 평양의 개선문광장이 과거 중국과의 우의를 상징하는 장소에서 북한의 주체성을 보여주는 현재의 모습으로 변한 과정을 분석한다. 과거부터 중국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 이곳에는 전후복구기 모택동광장이란 이름의 광장이 조성되었고, 여기서부터 우의탑과 중국대사관으로 이어지는 모택동거리가 생겼다. 하지만, 1960년대를 지나며 외국 지도자의 이름은 이곳에서 점차 사라졌다. 1982년 김일성의 평양 입성을 기념하는 개선문이 세워지고 광장과 주변 명칭도 변했다. 이처럼 다양한 역사적 층위가 중첩되어 현재 개선문광장의 장소성을 형성한다.
[학술논문] 도로 지명을 통해 본 평양시의 도시 구조 변화 연구
...있었다. 이는 1972년 평양시가 헌법상 수도가 된 1972년 이후에 나타난 도시 구조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이전의 평양시 주요 건축물은 김일성광장을 중심으로 본평양과 동평양을 연결하는 동~서 방향으로 조성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중반 이후 지하철 건설과 함께 대성산 남서쪽 산록에 혁명열사릉, 금수산의사당과 만경대혁명사적관이 세워지고, 1980년대 개선문, 주체사상탑이 세워지면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도시의 중심 축은 일제 강점기에 형성되었던 동~서축에서 벗어나 조선시대 평양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남~북 방향으로 회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대성산혁명열사릉과 금수산의사당이 도시 공간의 중심을 이루고, 이곳으로부터 남서쪽으로 만경대구역의 김일성 생가로 이어지게 한 것이다. 혁명열사릉과 금수산태양궁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