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소설 속에 나타난 인민재판의 양상 - 황순원ㆍ장용학ㆍ조정래의 소설을 중심으로 -
한국 소설 중 인민재판에 대한 묘사가 나오는 것으로 황순원의 장편소설 ≪카인의 後裔≫(1954), 장용학의 단편소설 <요한詩集>(1955), 조정래의 대하소설 ≪太白山脈≫(1986)이 있다. 세 소설가가 자신의 작품 속에서‘인민재판’을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가를 먼저 살펴보았다. 그런 연후에 세작가의 인식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인민재판의 실제적인 효과, 그리고 작가의 폭력 이해에 대해 고찰하였다. 북한체제에 염증을 느끼고 월남한 황순원은 북한에서 행해진 인민재판이 지주들의 토지를 무상으로 몰수하는 방법의 일환으로 사용되었음을 ≪ 카인의 後裔≫를 통해 보여주었다. 북한에서의 인민재판 광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가는 보이는 폭력만큼이나 보이지 않는 폭력도 무서운 것임을알려주었다. 장용학은
[학술논문] 거제도포로수용소의 9ㆍ17폭동 연구
6ㆍ25전쟁 기간 북한군 포로는 14만 명정도였다.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가 바꾸자 급증한 포로를 수용하고 관리하기 위해 부산에 포로수용소가 마련되었으나 보안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이듬해 거제도에 포로수용소를 옮겼다. 포로는 인민군, 중국군 등 원 소속에 따라 대단위로 수용되어 이념 갈등의 소지가 있었다. 수용소 운영이 포로들의 자치로 이루어져 단위 수용소를 장악하기 위한 친공 포로와 반공 포로의 주도권 다툼이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포로들은 친공과 반공으로 갈리게 되었다. 1951년 7월의 정전회담의 개시는 포로수용소를 이념 갈등의 장으로 만들었다. 수용소를 장악하기 위한 친공 포로와 반공 포로의 주도권 다툼은 유혈사태화 되었는데 ‘9ㆍ17폭동’은 그 중 하나였다. 구술 증언을 통해 85수용소에서...
[학술논문] 남북한 통합과 통일한국의 정치제도
이 논문은 남북한 통합논의를 심화시키고 바람직한 정치제도의 방향을 제시하기위해작성되었다. 통일한국의 정치제도 설계는 ‘다원적 대표성’, ‘균형적 대표성’, 그리고 ‘효율적 대표성’의 기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때 비로소 남북한이 법적·제도적 통합을 넘어 실질적 사회통합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통일한국에서는 연방주의에 입각한 분권형 정치체제를 지향한다. 정부형태는 다당제구축을 통해 정당간 연정으로 내각이 구성되는 의원내각제가 통일한국의 다양한 사회갈등과 균열을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하원의 총의석은 489석으로 이 중 남한에는 337석, 북한에는 152석을 할당하고, 지역구의석과 비례의석의 비율은 3:1로 설정한다
[학위논문] 한반도 남부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화강암류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화산암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연구 지역의 백악기 화강암류를 형성한 마그마의 특성 및 지구조적 환경을 밝히고자 연구지역에 대한 암석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지역은 벌교, 여수, 보성, 고흥, 장흥, 하남, 순천, 광양, 완도, 영암, 부산, 울산, 산내-언양, 진동, 유천, 김해, 의성-신령, 함안-군북, 마산, 남해, 거제도, 구미이다. 연구는 선행연구 자료 중 중성에서 산성 심성암 계열에 속한 478개의 시료에 관한 자료를 분석․정리하여 연구지역의 지화학적 해석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Mineralogical and Petrological Data Processing System 인 Minpet V2.02를 이용하여 마그마 근원 물질의 특성, 마그마 유형 분류,...
[학술논문] 6·25전쟁기 거제 포로수용소의 음악- 냉전이데올로기와 노래 -
전쟁이 나면 포로가 생기고;포로가 생기면 수용소가 필요하다. 수용소가 있으면;거기에는 항상 일상이 있었고;음악이 있었다. 거제 포로수용소도 예외는 아니었다. 1951년부터 1954년까지 운영되었던 거제포로수용소는 이전의 포로수용소에서는 보기 힘들 정도로 ‘노래로 시끄러운 수용소’였다. 시위와 폭동과 슬로건 외침으로도 시끄러웠지만;포로들은 기회만 있으면 노래했다. 포로들에게 노래는 항상 언제;어디서라도 쉽게 동원될 수 있어서 포로들의 요구와 애환과 불만과 저항을 표현하는 가장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수단이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냉전의 첫 대리전으로 치러진 한국전쟁과 거제포로수용소에 대해서는 국내외적으로 많은 연구가 있지만;포로들의 스포츠;연극;영화;종교;음악 등 문화활동에 대해서는 소홀하게 연구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