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에서 발표된 김영석 소설 고찰 ─「보배손」을 중심으로
김영석은 해방 이후부터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한 작가이다. 1946년에는 조선문학가동맹 산하 문학대중화운동위원회 위원장으로 평론과 문단활동을 하였고, 소설들은 주로 노동자의 현실을 담아낸 작품들을 발표하였다. 월북 이후에도 김영석은 작품 활동을 전개해 나간다. 특히 6·25 전쟁 때 종군활동을 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종군소설들을 주로 발표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김영석에 대한 논의는 해방기 작품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월북 이후 김영석은 비록 작품 수는 많지 않지만, 꾸준한 작품활동을 해왔다. 그러므로 북한에서 발표된 소설들을 살펴보는 작업은 김영석 소설세계의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 작업이라는 데 그 중요성이 있다. 따라서 김영석의 북한소설들, 특히 그동안 논의되지 않았던 단편소설과
[학술논문] 한국 소설 속에 나타난 인민재판의 양상 - 황순원ㆍ장용학ㆍ조정래의 소설을 중심으로 -
...광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가는 보이는 폭력만큼이나 보이지 않는 폭력도 무서운 것임을알려주었다. 장용학은 거제도포로수용소에서의 체험을 담은 수기를 보고 소설을 착상, <요한詩集>을 썼다. 공산포로가 반공포로를 인민재판을 통해 죽이고그 시체를 잘라 똥통 속에 빠뜨린 것을 보고 주인공 누혜는 고통을 못 이겨 자살의 길을 택한다. 동족을 인민재판을 통해 죽이고 시체를 훼손하는행위는 아무리 그 이념이 좋더라도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는 생각을 장용학은 한 것이기에 누혜를 자살로 이끌었던 것이다. 공산포로를 세례 요한의 목을 자르게 한 살로메에 빗댄 것은 폭력이 잘못된 것이라는 작가의식의 소산이었다. 조정래는 ≪太白山脈≫에서 인민재판이 폭력에 대한 폭력적 반응이었다는 점에서 옹호하는 입장을 취한다. 미군정이...
[학술논문] 거제도포로수용소의 9ㆍ17폭동 연구
...북한군 포로는 14만 명정도였다.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가 바꾸자 급증한 포로를 수용하고 관리하기 위해 부산에 포로수용소가 마련되었으나 보안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이듬해 거제도에 포로수용소를 옮겼다. 포로는 인민군, 중국군 등 원 소속에 따라 대단위로 수용되어 이념 갈등의 소지가 있었다. 수용소 운영이 포로들의 자치로 이루어져 단위 수용소를 장악하기 위한 친공 포로와 반공 포로의 주도권 다툼이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포로들은 친공과 반공으로 갈리게 되었다. 1951년 7월의 정전회담의 개시는 포로수용소를 이념 갈등의 장으로 만들었다. 수용소를 장악하기 위한 친공 포로와 반공 포로의 주도권 다툼은 유혈사태화 되었는데 ‘9ㆍ17폭동’은 그 중 하나였다. 구술 증언을 통해 85수용소에서 자행된...
[학술논문] 6·25전쟁기 거제 포로수용소의 음악- 냉전이데올로기와 노래 -
전쟁이 나면 포로가 생기고;포로가 생기면 수용소가 필요하다. 수용소가 있으면;거기에는 항상 일상이 있었고;음악이 있었다. 거제 포로수용소도 예외는 아니었다. 1951년부터 1954년까지 운영되었던 거제포로수용소는 이전의 포로수용소에서는 보기 힘들 정도로 ‘노래로 시끄러운 수용소’였다. 시위와 폭동과 슬로건 외침으로도 시끄러웠지만;포로들은 기회만 있으면 노래했다. 포로들에게 노래는 항상 언제;어디서라도 쉽게 동원될 수 있어서 포로들의 요구와 애환과 불만과 저항을 표현하는 가장 간단하면서도 편리한 수단이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냉전의 첫 대리전으로 치러진 한국전쟁과 거제포로수용소에 대해서는 국내외적으로 많은 연구가 있지만;포로들의 스포츠;연극;영화;종교;음악 등 문화활동에 대해서는 소홀하게 연구되어...
[학술논문] 포로에서 민간인으로 - 한국전쟁기 유엔군 포로수용소의 민간인 억류자 심사·분류·석방 과정
... 지연시키자, 유엔군은 이들의 자원에 따라송환 여부를 결정하는 심사를 추가로 진행했다. 결국 1952년, 거제도에서 민간인 억류자 3만 명이 송환을 거부하고 남한 각지로 석방되었으며, 약 9,000명은1953년 휴전협정 이후 북한으로 송환되었다. 민간인 억류자가 자원 송환과 본국(강제) 송환을 오가며 처리되는 과정은 교전 양측의 포로 송환 원칙이 표면적으로는 그 선전 효과를 누리면서도 실제로는 급변하는 정치적 요구와 수용소의상황을 반영하며 유동적으로 형성되어갔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