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초기 역사학계의 단군신화 인식과 특징 -리상호와 리지린의 연구를 중심으로-
...고고학자들이 주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역사학자들의 요녕설이 논쟁의 우위를 차지할 무렵 단군신화에 대한 토론회가 개최되었다. 토론을 주도했던 연구자는 요녕설을 강력하게 주장했던 리상호와 리지린이다. 이들은 단군신화의 역사성을 강조하면서 신화 속에 내재된 역사적 사실을 찾으려고 하였다. 그 결과 북한 역사학계는 단군신화가 원시사회 이래의 현실을 반영하는 고조선의 건국신화이며, 국가의 기원과 역사지리 문제 등에서 중요한 사실을 기록한 신화라고 인정하였다. 이 과정에서 식민지시대 민족주의 계열의 단군신화 연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 기반한 백남운의 단군신화 인식을 비판하기도 한다. 결국 이 당시 단군신화와 고조선 연구의 사학사적 의미는 북한 역사학계가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에서 북한식의 민족주의 역사학으로...
[학술논문] 桓雄天王과 檀君王儉에 대한 역사민속학적 고찰
역사학에서는 고조선을 건국한 건국자 단군에 중점을 두어 단군신화라고 표현하며, 민속에서는 농경생활을 시작한 환인과 환웅 그리고 단군 세 존재 모두에게 숭배를 하고 가신으로서 모셔 의례를 행하고 있다. 역사학에서는 국가에 관심을 갖고 건국신화를 중요시한 것이며, 민속에서는 가정에 관심을 갖고 가신신앙으로 숭배를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삼국유사』 고조선조의 내용은 분명히 환웅이 주인공이며 농경생활에 대한 내용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단군의 존재와 건국에 대한 내용은 그 결과로서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삼국유사』의 단계에서는 환웅이 신화적 존재이므로 환웅신화, 그리고 단군은 인간적 존재로서 기록되어 있으므로 단군왕검으로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이 객관적 표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제왕운기』에서 제왕들의...
[학술논문] 건국 신화와 영웅 신화로서의 김일성 신화 연구
...갑작스러운 해방을 맞아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북한 주민들의 절망과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열망, 그리고 초월적 영웅에 대한 갈망이 북한 정권의 정치적 기획과 만나 창조된 것이 김일성 신화이다. 김일성 신화는 건국 신화와 영웅 신화로서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 김일성 신화는 김일성을 ‘민족의 태양,’ ‘민족의 해방자’로 묘사함으로써 그를 건국의 시조로 위치시키고, ‘백두산’이 갖는 상징성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공간의 신성함을 토대로 하는 건국 신화적 속성을 보여준다. 또한 김일성이 항일 무장 투쟁 과정에서 보여주었던 비범한 육체적 능력을 강조하고, 그가 가진 정신적 강인함과 뛰어난 지적 능력을 신성화하며, 토지 개혁을 단행하고 농업에서부터 수산업, 공업에...
[학위논문] 북한의 문예정책과 구비문학의 활용 양상 연구
...국가권력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권력자를 숭배하도록 하는 것은 다름 아닌 신화적 현상이기 때문이다.
구비문학 장르를 정책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은 북한만의 문제는 아니다. 고대 건국 신화, 신화의 양식을 가지고 있는 <용비어천가> 등의 악장, 1970년대의 민중극, 탈춤, 민중가요 속의 민요 등도 정치적으로 도구화 한 예이다. 이들 장르들은 구비문학 장르가 이념과 결부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일맥 상통하는 것이다. 구비문학 장르가 이념과 결부되어 전개되는 것이다. 그러나 건국신화나 북한의 구비문학은 국가주의적인 시각에서, 민중극.탈춤.민중가요 등은 민중주의적인 시각에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은 서로 다르다.
민중적인 차원에서 구비문학을 선택한 것은 열린 구조이며...
[학술논문] 북한 지도자의 통치정당화와 ‘어머니’ 활용 전략의 변화
... 이 연구에서는 통치정당화의 원천을 ‘건국신화’와 ‘이데올로기’, ‘개인적 특성’, ‘절차’, ‘성과’, ‘국제적참여’ 등 6가지로 구분한 이론적 틀을 사용하였다. 김일성은 어머니 강반석을‘조선의 어머니’로 우상화하며 건국신화와 개인적 특성에 의존했고, 일반 어머니들에게는 ‘혁명적 어머니’가 될 것을 요구했다. 김정일은 김정숙을 ‘선군의어머니’로 명명하고 선군사상의 확산을 위한 ‘선군가정의 어머니’ 역할을 강조했다. 김정은은 ‘건국신화’와 ‘개인적 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