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주민의 법적지위와 대한민국의 계속성 - 우크라이나 전쟁 포로의 사례를 중심으로 -
...관한 제네바 제3협약상 본국 송환 규정에 따라 본국으로서의 대한민국으로 송환되는 경우에는 단순한 북한이탈주민의 귀순이 아니라, ‘전체로서의 대한민국’에 기초한 ‘대한민국과 대한제국의 동일성’을 국제 외교 무대에서 실증적으로 확인받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마련되는 것이며, 여기에서 파생되는 효과로서 대한민국의 건국일, 일제강점기의 우리 국민의 국적, 독도영유권 문제에 대해서도 해답을 제공한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참상은 매우 정의롭지 못한 것이지만, 북한군인의 참전 등 전쟁의 전개 상황은 대한민국이 전혀 의도한 것이 아니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정부적 국제정치현실에서는 이를 남북통일의 당위성의 관점에서 대한민국의 국익을 강화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요컨대 대한민국은...
[학술논문] 대한민국 제헌헌법과 ‘건국절’ 논란-헌법 전문과 중앙정부론을 중심으로-
...헌법상의 현실국가였다. 하지만1948년 8월 15일은 대한민국이 건국된 날이 아니라 대한민국정부가 남한 단정으로 수립된 날이다. 남한 단정은 1948년 12월 12일자 유엔총회 결의로 분단정부로 전화했다. 분단정부인 대한민국정부를 전국정부로 변신시키고 여기에 대한민국을 유일합법국가인독립주권국가로 보는 시각이 덧씌워지면 분단국가가 탄생하게 된다. 8・15 건국일을 주장하는 논자들은 대한민국정부는 유엔 결의에 의한 유일합법정부이며 이 유일합법정부는 곧 전국정부라는 것과 그 정부의 국가인 대한민국은 한반도에서 유일한 합법적인 독립주권국가라고 주장하겠지만, 그 실제 내용은 분단국가의 분단정부이다. 대한민국과 대한민국정부를 유엔이 승인한 한반도에서 유일한 합법정부와 주권국가로 보는 시각은 북한을 흡수 통일하는 방법 이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