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국의 위안부’를 읽는 법
...위태로운 것처럼 보인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민족에 대한 감수성이 아니라 인권에 대한 감수성이다. 일본 우익이 자행하고 있는 재일한국인에 대한 인종차별 행위 곧 반인도적 범죄행위의 해결 방안을 위안부 문제에서 구하는 것은 지나친 논리의 비약이라 할 것이다. 일본에서 자행되고 있는 반인도적 범죄행위에 대해 예리한 감수성을 확보할 필요가 절실하다. 이런 능력을 가지게 될 때, 북한의 반인도적 범죄에 대해 울리고 있는 요란한 경고음에 대해서도 합당한 대응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될 것이다. 위안부문제와 현실의 반인도적 범죄 행위를 연결시키는 인식론의 비약이 아니라 그 연계 고리를 차단하는 ‘인식론적 단절’ 행위가 현재 우리에게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해 둔다.
[학술논문] 박근혜 정부의 국방정책 평가: 한·미 쟁점을 중심으로
...강력한 의지 천명 및 응징보복으로 대응했다. 그러나 북한이 공개한 KN-08 개량형, KN-09, KN-11 등 신형 무기에 대해서는 뚜렷한 대응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전작권 전환이 재연기되고 작계 5015가 완성되고 다양한 국방협의체들이 만들어짐으로써 한미 동맹은 더 심화되었다. 그러나 한국은 미군의 탄저균 배달사고와 미 제2사단의 마지막 기동여단의 해체를 보면서 한미동맹의 미래를 우려하고 있다. 또한 미국은 한국 내 사드 배치를 주장하고 있지만 한국은 3No로 일관하고 있다. 미국은 한국의 이런 정책에 대해 의심의 눈길을 보내고 있다. 한국은 G2 사이에서 균형된 외교를 펼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국방정책까지 균형될 필요는 없다. 경고음이 실제 행동으로 나타나는 조짐이 여기저기서 발견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