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관계의 이론적 탐색: 존재론적 안보와 경합적 공존을 중심으로
...관점에서, 남북관계의 본질은 각기 존재의 정당성을 위해 서로가 적대·경쟁 또는 타협의 서사를 구축하며 벌이는 ‘주권게임’이라 할 수 있다. 존재론적 안보 관점에서 데탕트는 반미반제국주의와 반공의 서사를 바탕으로 정체성의 경쟁을 해 온 남북한 모두에게존재론적 위기인 동시에 기회를 가져왔고, 2018년 초 “평창 임시 평화체제”의 굴곡 또한 근본적으로 ‘핵보유 정상국가’ 정체성을 추구했던 북한의존재론적 불안에서 야기된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한편, 존재론적 안보는남북관계의 과거·현재에 대한 해석을 넘어 미래적 상상력을 제공할 수있는
경합적
공존(agonistic coexistence)이라는 개념으로의 확장성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