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남북관계] 평화개념 연구
... 평화, 정의로운 평화, 안정적 평화, 양질의 평화, 포스트 자유주의 평화, 해방적 평화, 일상적 평화, 경합적 평화, 통일 평화 등 9개 범주에 걸쳐 평화개념을 탐색한다. 이로써 현실적인 요구와 학문적인 요청에 모두 부응하는 평화학 교과서가 선보이게 되었다.
#평화 #통일교육 #서보혁 #강혁민 #정혁 #김상덕 #허지영 #이성용
[학술논문] 남북관계의 이론적 탐색: 존재론적 안보와 경합적 공존을 중심으로
...관점에서, 남북관계의 본질은 각기 존재의 정당성을 위해 서로가 적대·경쟁 또는 타협의 서사를 구축하며 벌이는 ‘주권게임’이라 할 수 있다. 존재론적 안보 관점에서 데탕트는 반미반제국주의와 반공의 서사를 바탕으로 정체성의 경쟁을 해 온 남북한 모두에게존재론적 위기인 동시에 기회를 가져왔고, 2018년 초 “평창 임시 평화체제”의 굴곡 또한 근본적으로 ‘핵보유 정상국가’ 정체성을 추구했던 북한의존재론적 불안에서 야기된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한편, 존재론적 안보는남북관계의 과거·현재에 대한 해석을 넘어 미래적 상상력을 제공할 수있는 경합적 공존(agonistic coexistence)이라는 개념으로의 확장성을 보여 준다.
#존재론적 안보 #경합적 공존 #비판적 구성주의 #남북관계 #전기적서사 #안보문제화 #데탕트 #핵보유 정상국가 정체성 #박정호
[학술논문] 경합적 평화론의 한반도 평화구축에의 함의: 경합적 다원주의를 중심으로
경합적 평화론이 한반도 평화구축에 주는 함의는 무엇인가? 이 논문은 경합적 평화개념을 통해 한반도 평화연구의 주요 연구영역에 해당하는 평화구축에 대한 경합적 시각을 제시한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도되는 평화적 절차는 사회구성원 모두가 보편적으로 동의하는 합의를 의미할 수 없으며, 분쟁 후 사회에 만연한 급진적 불일치와 적대성은 끊임없는 논의와 중재의 과정을 통한 정치적 행위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합적관점이 한반도 평화구축에 줄 수 있는 함의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평화프로세스는 남북한 사이의 정치적 화해를 추구하고 다양한 수행주체들을 포착해야한다. 둘째, 통일의 과제는 다원적 정치공동체 설립에 대한 종말론적 추구로 발전되어야한다. 셋째, 남한사회의 정치공동체가 갖는 경합적 내러티브에...
#평화이론 #경합적 다원주의 #경합적 평화 #평화구축 #한반도 #강혁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