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남성이 겪은 국가폭력 트라우마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러시아 파견 탈북노동자의 체험을 중심으로
...북한남성의 정체성 변화 과정이 파악되었다. 탈북 시점을 전후로 맹신기, 각성기, 전환기, 혼란기, 성장기의 5가지 단계로 확인되었다. 신체성 측면에서는 9가지 국가폭력 트라우마 유형이 파악되었는데, 이것을 Galtung가 제시한 폭력의 삼각구도에 개념틀을 따라 직접적, 구조적, 문화적 국가폭력으로 분류했다. 노동착취, 감시고발, 처벌은 직접적 국가폭력에,
계급제도, 배급제도, 거주제도는 구조적 국가폭력에, 조직생활, 사상교양, 정보차단은 문화적 국가폭력에 포함되었다. 북한남성이 경험한 국가폭력 트라우마는 일상생활 트라우마의 특성이 나타났으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국가폭력의 피해를 더 직접적으로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상생활 트라우마의 결과 북한남성은 국가폭력을 인식하지 못하고, 국가폭력에 순응하며, 국가폭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