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선법 연구의 두 가지 접근 양상
...응용하기 어려운 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나온 연구성과를 필자는 실용적 접근으로 분류하고 주로 작곡계에 관계하는 사람들의 연구로 백대웅(白大雄) ․ 전인평(全仁平), 북한의 리창구의 연구성과를 이러한 범주에 넣었다. 학문접 접근방법에서는 주로 평조(平調)와 계면조(界面調)의 용어를 사용하였고, 민속악 연구에 심혈을 기울인 이보형은 ‘토리’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연구를 하였다. 평조와 계면조의 두 가지 용어로 설명하는 과정에서 여러 용어가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다. 즉, 동일한 용어이지만 다른 개념을 담고 있거나, 동일 개념을 다른 선법 용어로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실용적 접근방법에서는 주로 서양 계명(階名)을 이용한 다섯 분류방법을 사용하였고, 리창구는 궁조(宮調)...
[학술논문] 도라지 음악의 역사 상한선과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이를 계면조계통과 평조계통으로 나누어 분석해보면 계면조계통의 <구 도라지타령(1)>과 <구 도라지타령(2)>는 변형관계이고, <구 도라지타령(1)>과 <도라지(1)>은 선후관계이며, <구 도라지타령(2)>와 <도라지>는 선후관계라는 것이 분명해 보인다. 그리고 평조계통의 <긴 도라지(1)>․<긴 도라지(2)>․<도라지타령>은 차례로 선후관계임을 알 수 있었고, 계면조계통의 <도라지>와 평조계통의 <도라지타령>은 변형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때문에 도라지 음악의 역사 상한선은 적어도 1350년 전 <길간>이 산생한 고구려로 소급할 수 있고, 민요 도라지의 변천과정은 계면조계통의 <구...
[학술논문] 북한 민족음악의 실제 『조선민요의 조식체계』와 『조선민요조식과 민족전통화성』을 중심으로
...민족전통화성』이라는 책으로 살펴보았다. 민족성에 대한 주목은 사회주의 국가 일반의 특성인 인민성과 연결시킴으로써 ‘인민음악’으로서 민요에 주목했으며, 또한 인민음악을 중심으로 하면서도 민족음악의 유산으로서 지배계급의 음악인 궁중음악까지 새로운 민족음악의 원천으로 삼아 왔다. 그리고 이러한 민족성에 대한 주목은 대조소조 체계의 서양 근현대 조성음악과의 교섭과 통합, 나아가 독자적 발전을 지향하기 위해 평조계면조의 우리나라 조성음악체계를 이론화, 체계화하는 일에 집중했다. 이는 과거에서부터 이 땅에 사는 사람들에게 체현되어 있는 전래음악의 기호와 서양을 중심으로 획득한 근래 외래음악의 현재적 기호를 인정하고 그를 발판으로 삼고자 ‘대중성’을 중시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학술논문] 북한 민요 5음음계 조식확장 양상에 관한 연구
...5개 음으로 구성된 음계로써, 궁조식·상조식·각조식·치조식·우조식 등 5개 종류가 있다. 5음음계조식으로 구성된 북한 민요는 선법에서의 독특한 시김새를 내포하고 있으며, 풍격에서의 독특한 멋을 나타낸다. 1950년부터 2002년까지의 북한 민요의 5음음계 조식연구 성과를 살펴보면, 평조3음열과 계면조3음열을 기초로 한 조식의 구조적 특징 및 유형에 관한 연구와 조식확장에 관한 연구로 나뉜다. 그 중 조식확장에관한 연구는 황민명의 이론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민요 5음음계조식의 이론적 배경 및 형성과정에관하여 고찰하는 한편, 민요 5음음계 조식확장 이론에서 아직 연구되지 못한 ‘기본형조식’과 ‘확장형조식’...
[학위논문] 남ㆍ북한과 연변지역의 경서도 민요 비교 연구
...같이 요약된다.
첫째: 경서도 민요의 선법은 ‘Sol’과 ‘Re’를 중심으로 하는 평조 음계, ‘La’를 중심으로 하는 계면조 음계 등 3가지로 구분된다. 그 중 ‘Sol’을 중심으로 하는 평조 음계의 민요로는 <방아타령> 외 4곡이고, ‘Re’를 중심으로 하는 곡은 <긴 난봉가>와 <자진 난봉가> 외 3곡이며, ‘La’를 중심으로 하는 계면조 음계는 <뱃노래>와 <자진 뱃노래> 외 1곡이다.
둘째: 골격선율은 주로 g→c', a→d' 혹은 g'→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