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해동명장전(海東名將傳) 번역에 나타난 역사인물의 특징
...마련하고 김일성의 주체사상이
강화된 역사관으로 재정비되는 과정에서 충효사상에 바탕을 둔 사회주의 애국심으로 형성되었다. 그 결과, 2010년 본은 1956년 본과 비교하여 삭제된 부분도 많고 왜곡된 해석도 많아졌다. 김정은 정권에 들어오면, 강성한 국가의 믿음직한 후비대가 되기 위해서 역사를 배우고 창조적인 능력을 키우고 조국 통일 위업을 달성하기 위한 전략이
강화된다. 홍양호가 저술한 『해동명장전』은 북한에서 출판되는 과정 속에서 역사인물이 삭제되었다. 나라를 배반하고 백제부흥운동에 참여했지만 당으로 들어간 흑치상지와, 북한사회에서 철저하게 외면당한 김부식, 외세를 끌어들여 통일을 이룬 김유신에 대한 서사가 그렇다. 이 과정에서 북한 사회는
고구려
계승
의식을
강화하기 위해 고조선-
고구려-발해-고려로 이어지는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