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과 세계 사이의 영화 <불가사리>: 불가살이와 고지라, 두 원형의 경합
...내·외부의상황을 정리했다. 특히 이 영화는 ‘불가살이’와 ‘
고지라’라는 두 원형, 민족성과 세계성이라는 두 욕망의 경합이라는 문제를 태생적으로 안고 있었다. 여기서 불가살이가 만들어 내는 불가사리의 민족성은 ‘쇠’라는 불가살이의핵심적인 요소에서 출발해서 ‘쌀’과 ‘소’의 형상을 통해 재현되었다. 동시에 불가사리는 기존 괴수물의 문법을 답습하는 작품이다. 이러한 괴수영화에 대한 익숙함을 이용해 ‘1985년 북한, 1990년대 일본, 2000년 남한’ 이라는 3개의 시공간 속에서
고지라 시리즈와 동반 등장한 정황이 확인됐다. 이 과정에서 ‘민족성’과 ‘세계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