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청소년들의 과외체육소조 활동의 변화
...체육의 대중화, 생활화 정책의 대표적인 활동인 청소년들의 과외체육소조활동의 변화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945년 정권 초기부터 1950년까지 1차 태동기, 1953년 한국전쟁 이후부터 1974년까지 2차 태동기로 보았다. 이 시기에 북한 정권은 청소년 체육의 대중화, 생활화 정책을 시도하였지만 성공하지는 못하였다. 북한 청소년의 과외체육소조활동이 본격적으로 발달했던 시기는 1975년에 11년제 전반적의무교육 실시로 청소년들의 학교 집단생활이 강화된 시기부터 1994년 고난의 행군 이전까지로 보았다. 북한 정권은 모범체육군, 모범체육학교 칭호 수여, 각종 체육대회를 장려하였기 때문에 학교뿐만 아니라, 도, 시, 군 등에서도 과외체육소조활동에 대한 경제적 지원이 있었다. 그러나 1994년 고난의...
[학술논문] 남북한 중학교 체육교육과정 비교연구: 남한 2015 개정교육과정과 북한 2013 제1차 전반적12년제의무교육강령을 중심으로
...수 있는 것은 첫째, 남북의 체육교육의 목적과 방향성에는 근본적인 차이가 존재한다. 둘째, 체육 교육의 내용적 측면에서 남과 북은 공통점이 많다. 남한의 교육과정 발전 단계에서 6~7차 체육 교육과정이 북한의 2013 교육강령의 체육 교수요강과 교육 내용 구성 면에서 비슷한 형태를 보인다. 셋째, 남북교수·학습 방향성과 평가에는 수업 시 간접 체험 활동과 방과 후 체육활동을 강조한다는 공통점이 있고, 북한은 국가 주도의 획일화된 평가기준이 적용되는 반면, 남한은 평가의 자율성이 보장된다는 차이가 있다. 향후 남북 체육교과 교류 및 통합을 위해 방과 후에 공통적으로 이루어지는남한의 학교스포츠클럽과 북한의 과외체육소조를 매개로 학생 중심의 체육 교류대회를 추진하는 것이 유력한 대안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