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교과서 전문용어 통일기준 위계 연구
본 연구의 목표는 선행 연구 분석과 남북한 교과서 전문용어 실례 분석을 통하여논리적 근거와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남북한 전문용어 통합에 필요한 10개기준의 위계를 제시하는 것이다. 위계를 설정하는 데 논리적 근거와 실증적 근거를사용하였는데, 우선 논리적 근거란, 기준의 필요성의 정도에 따른 것이다. 투명성과경제성을 가장 높은 위계에 둔 것은 학습 효과가 높기에 그런 것인데, 투명성이 의미의 적확성을 나타내어서 근간이 되는 것이므로 투명성의 위계가 경제성보다 더높다. 고유성은 한국 자존적 문제와 남북한 공히 선호한다는 이유로 높은 순위로설정되는데, 경제성과 고유성이 서로 충돌하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위계로 두었다. 친숙성은 높은 학습 효과와 사용성 검증이라는 강점이 있으나 남북한의 친숙성이다를 수 있다는...
[학술논문] 남북한 전문용어 통합 기준에 관한 연구 - 초ㆍ중등 교과서를 중심으로 -
...교과서의 전문용어를 통일할 기준을 마련하고, 이 기준을 남북한 전문용어 통일의 실례에 적용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문용어 정비에 관한 기존 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투명성, 경제성, 고유성, 일의성, 일관성, 국제성, 문법성, 생산성, 친숙성, 윤리ㆍ미학성’의 10가지 기준으로 선정하고 용어를 통일하였다. 그리고 이 기준의 정의ㆍ특성ㆍ선정 근거ㆍ실례 적용을 다루었다. 투명성이란, 그 용어만 보고서도 용어의 의미를 추론할 수 있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경제성이란, 음절수가 짧은 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고유성이란, 고유어인 전문용어가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일의성이란, 한 용어가 한 개념에 대응되는 것이 우선시된다는 것이고, 일관성이란, 개념의 체계와 용어의 체계가...
[학술논문] 남북 수학․과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 분석
...북한에서 출판된 수학․과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 중 남북이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전문 용어의 어종과 대응 유형, 빈도 등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남북 중․고등학교 수학․과학 교과서 전문 용어 목록은 총 1,487개이다. 이 중 형태가 같지 않은 전문 용어 395개가 이 논문의 분석 대상이다. 남북 수학․과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북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는 모두 145개이다. 남한은 ‘한자어’가 116개(80%)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북한은 ‘고유어+한자어’가 88개(60.6%)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남북 중․고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 대응 유형은 ‘한자어 ↔...
[학술논문]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에 대한 질적 탐색 - 학습 생애사적 접근의 내러티브 인터뷰와 질적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
...문식성 양상 분석은 우선 1) 남한의 대학생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 보편적인 언어 문식성 문제와 2) ‘탈북’ 대학생이라는 특수 변인에 따른 언어 문식성 특성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남한의 대학생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날 수 있는 보편적 차원의 언어 문식성 문제로는 1) 개요 짜기 능력이 미비한 경우, 2) 자기 생각이나 주장을 드러내지 못하는 경우, 3) 서론-본론-결론의 3단 구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경우를 제시하였다. 셋째, 탈북 대학생이라는 특수 변인에 따른 언어 문식성 특성으로는 1) 남북한 교과 전문 용어 차이로 인한 어려움, 2) 문학 독서 경험의 차이로 인한 문학 소양의 차이, 3) 북한의 사회 체제 특성으로 인한 비판적 성향의 글쓰기 문화를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통일 대비 남북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 연구에 대한 시론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를 중심으로-
... 1절에서는 통일 대비 초·중등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의 필요성을 1) 한자어, 외래어 중심의 남한 교과 전문 용어와 고유어 중심의 북한의 교과 전문 용어, 2) 의미 투명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교과 전문 용어, 3) 분단 상황에서 중간자적 위상으로서의 중국 재외 동포 조선어 교과 전문 용어로 구분하여 논의를 심화하고자 하였다. 2절에서는 각 교과별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 논의에 대한 메타 분석 필요성을 논의하면서 최종적으로는 <남북한 교과별 전문 용어 비교 사전>을 마련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4장에서는 중등 문법 용어를 중심으로 통일 대비 남북 국어 교과 전문 용어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