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사회규범, 통일에 관한 시민 윤리 과제와 그 실천 방안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처럼 상호보완적 안보통일교육은 시민들의 다양한 가치관, 사회규범, 시민 윤리적 통합과 관련하여 교육을 중심으로 다루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보다 심도 있는 원칙과 방안, 즉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인간 정신의 변화를 시도하는 영역은 교육 분야이다. 교육도 사회통합 차원에서는 크게 사회적 차원의 언론, 문화 등을 통한 사회교육과 제도적 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 남북한 주민의 가치통합의 주된 역할을 담당하게 될 우리 사회의 통일교육은 통합에 있어서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요청된다. 그 문제점에 대한 면밀한 분석 없이는 통일교육의 완전한 비전을 가질 수 없다. 결국 상호보완적 안보통일교육은...
[정치/군사]
...
다섯째, 북한군 군사 위협을 미래에 초점을 맞추었다. 북한군이 2022년 42회에 걸쳐 72발의 미사일을 발사하고, 우리 군이 설정한 전술조치선 이남으로 북한 공군기가 집단으로 도발한 사례를 분석했다.
여섯째, 북한 교육과 문화 분야에서 지금까지 선행연구에 없는 내용을 발굴하여 썼다는 점이다. 먼저 교육 분야에서는 북한 고급중학교 역사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3·1운동과 임시정부, 이순신과 안중근을 철저하게 혁명적 수령관으로 폄훼한다는 사실을 지적했다. 문화 분야에서는 ‘북한에는 국악이 존재하지 않는다.’라는 것을 밝혔다. 북한에 국악이 없다는 것은 최초의 학술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일곱째...
[사회/문화]
독일통일 총서16
통일교육 분야 관련 정책문서
도서 PDF 받기: 독일통일총서 16-통일교육
[학술논문] 터키의 케말 파샤와 이승만 비교연구 - 정치, 외교, 경제, 교육 분야 치적을 중심으로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chievements between Mustafa Kemal and Syngman Rhee in the field of political diplomacy, economy and education. The founder of Republic of Turkey, a effective dictator; Kemal Pasha radically transformed Turkish society, politics and law, based on his Kemalism, its citizens adopted Western standards of model, the Latin alphabet, secularism and industry. As
[학술논문] 『통일교육연구』의 분석을 통한 통일교육학적 성과 연구
...대해 논하고자 한다. 그 동안 통일교육의 성과가 실질적으로 통일정책에 반영되어 왔으며, 『통일교육연구』에서 보여준 통일 및 북한 인식은 새로운 변화를 발견하게 하고 있다. 즉 통일 및 북한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지나친 편향적 인식을 벗어나려는 의지를 보인다. 또한 통일교육에 있어서 교육학적 인식과 객관적인 실제논의를 파악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통일교육연구』의 통일교육 분야 연구는 교육학과 출신의 연구진과 윤리교육과 출신의 연구진들이 우리 사회의 남남갈등의 해소와 앞으로 민족 통합의 수렴을 찾는 학문적 노력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여기서 『통일교육연구』의 통일 및 북한 인식 접근은 통일로의 학문적 접근을 찾으려는 노력이며, 통일교육 연구의 지속성과 인식을 올바르게 파악하고자 하는 분석임을 밝히고자 한다.
[학술논문] 북한의 영재교육
...대하여’라는 문건을 통해 수재교육을 실시할 것을 지시하면서 북한에 영재교육을 도입할 의지를 공식적으로 표명한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사회주의 이념에 기초하여 평등주의 교육, 집단주의 교육의 사상을 일관되게 강조해 온 북한 사회에서 자본주의 교육 또는 엘리트 교육이라는 심각한 비판을 받을 수 있는 영재교육이 지도자에 의해 주도되었다는 사실은 영재교육분야뿐 아니라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의 주목을 끌기에 충분했다. 이에 국내에서는 1990년대 초반부터 북한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왔다. 그러나 북한의 영재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는 북한 영재교육의 전체 모습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보다는 북한 영재교육의 특정한 측면만을 부분적으로 조명하는데 그친 경우가 많아 영재교육의 주류 이론과 방법론의 측면에서...
[학술논문] 북한 초・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변화 방향
...단계에서는 물리, 화학 등의 과학교과들을 자연과학으로 통합하는 가운데 수업시수를 늘려 과학교육을 강조하며, 영어 교과 수업시수 확대, 교과내용에서 이념적 표현 축소, 사실 중심의 역사 교육 강조, 국제공용어 사용 등으로 국제교류를 의식한 실리를 추구하고, 법 관련 교과를 통해 ‘법’에 의한 사회질서 유지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교과서에 삽화와 그림 비중을 확대하면서 생활 속의 재미있는 학습을 강조하는 등으로 북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정책이 변화하고 있다. 이처럼 북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정책은 지도자 우상화 정책 강화 경향을 제외하면 남한과의 유사점이 점차 확대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향후 교육분야 통일 대비 논의는 이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진행되어야 할 것임을 이 논문은 시사해주고 있다.
[학술논문] 한국 인문지리학 분야에서 북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본 연구는 한국의 인문지리학에서 북한과 관련된 학술 성과와 내용을 분야별로 분석하여 통일에 대비하기 위한 연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기별 연구 동향을 보면 1980년대 이전에는 정치지리분야에서 지정학과 통일국토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1990년대는 북한 지리교과서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지리교육 분야를 중심으로 논문이 발표되었다. 2000년대 이후에는 정치지리 분야에서는 비판지정학을바탕으로 한 신지정학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DMZ와 접경지역에 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경제지리 분야에서는 북한의 지역개발과 통일 이후의 남·북한 경제 통합을 다룬 논문들이, 사회·문화지리 분야에서는 탈북민, 지명, 금강산 관광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북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