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법교육의 연구 현황과 전망
Our discussion about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henceforth abbreviated as SCE) has been ongo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mmunication theory. Heated debates are frequently observ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ivil democracy and the spread of mass media such as radio, TV and movies. Research may start with microanalysis and ends with macroanalysis, or vice versa. The definition of SCE became
[학술논문] 한국 정치극의 전개 양상 -1920년대부터 80년대까지의 정치극운동을 중심으로-
...언론이 검열 때문에 제 역할을 하지 못하던 시대에 미디어로서의 역할도 수행했다. 5공 시대에는 민족, 민중 담론에 역사 담론이 결합되었고, 마당극은 실내마당극으로도 외연이 확장되었다. 또 정치적 메시지 전달에 치중한 언어 위주의 정치극을 탈피하여 표현방식의 미학적 탐구에 치중하는 변화를 보인다. 민주화 시대가 열린 87년부터 90년대 초반까지의 연극계는 정치극의 대 유행 시대였다. 금기였던 민감한 정치적 소재와 진보적 주장들이 거침없이 다루어졌으며, 양식과 미학 실험에 주력한 작품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정치적 금기의 해방과 민주화로 인한 투쟁의지 상실, 정치소재의 상업주의적 이용, 마당극의 상투화 현상, 대중의 정치에 대한 무관심 등으로 인해 정치극은 운동으로서의 역동적 에너지를 상실하고 퇴조했다.
[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정치·사회적 이슈 대화 및 토론 경험 분석: 청소년 시민성 교육에의 시사점
... 초등학생들은 주로 대중매체를 통해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가족 및 친구와 이슈에 대한 대화나 토론을 하고 있었다. 셋째, 이슈 대화 및 토론에 참여하는 초등학생은 조사 대상의 절반에 미치지 못했으며, 참여하는 경우에도 자기 의견을 표명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넷째, 초등학생들이 이슈에 대한 발언하기나 침묵하기를 선택하는 데는 이슈에 대한 감정 및 지식, 이슈 대화 및 토론 결과에 대한 기대 여부, 타인과의 교감 등에 대한 판단이 작용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에 대한 정치․사회적 이슈 대화 및 토론 경험 제공의 필요성, 학교 교육 및 교사의 역할 제고, 이슈 대화 및 토론 과정에서 침묵하기 현상에 대한 면밀한 탐구의 필요성을 청소년 시민성 교육 및 연구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진로정체성에 관한 고찰
...특성과 문제점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북한이탈주민들이 하나원에서 받는 직업교육과 진로지도가 북한에서의 직업경험을 반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에 들어와 취업을 하는 과정에서 북한에서의 경력이나 자격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다. 그 이유는 그들에 대한 진로 상담과 연구가 실증주의 패러다임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개인의 외적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에 대한 진로상담과 연구는 개인의 내적 측면에 초점을 두는 구성주의적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내러티브 탐구 방법은 개인이 처한 상황과 경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를 탐구하는데 도움을 준다. 진로상담을 구성주의적 자기구성모델, 내러티브 탐구방법으로 해야 하는 이유는 현대사회의 진로발달 추동요인 개별화와 관련이 있다. 진로발달추동요인의...
[학위논문] 평화학 기반의 통일교육 실천을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
...통일교육원의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은 어떠한 의미와 한계점을 가지는가? 셋째, 평화학 기반의 통일교육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연구자의 교육 실천 현장에서 비판적 실행연구를 수행했다. 정부 주도의 통일교육 실천 현장에서 요구되는 사항은 첫째, 적대자상 해체, 둘째, ‘국가안보’에서 ‘인간안보’로의 전환, 셋째, 다문화교육과의 접점 찾기, 넷째, 학습자가 주체가 되는 교수-학습법의 요청, 다섯째, 경쟁이 아닌 공존의 가치 지향, 여섯째, 사실에 관한 명확한 검토 등이었다. 이러한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자는 대안적 프로그램을 운영ㆍ진행했으며, 평화학 기반 통일교육의 실천을 통해 얻게 된 연구 결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