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과 일치에 관한 사도행전의 이미지 분석
...짓는 수미상관을 이룬다. 더불어 성령은 교회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중심개념이고 모든 증인들이 공유하는 하나님의 선물로서 능력이다. 이것은 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하나로 결집되어 예수의 교훈을 그대로 실현시키는 신앙공동체가 되도록 이끄는 동력이다. 예루살렘 교회와안디옥 교회의 실천을 통해 나타나는 특징은 대리가족(surrogate family)의형성, 독점의 한계와 극복, 협력모델을 들 수 있다. 예수의 이름으로 모인초기 기독교 공동체가 실천한 제자도(discipleship)는 폐쇄적인 가족체계와구조를 해체시켜 새로운 가족모델을 만들어낸다. 또한 교회의 지도력을개방하여 참여하게 만드는 개방성을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예루살렘 교회와 안디옥 교회는 피차 관심을 갖고 협력하는 친밀한 공동체로 우의를 다진다. 이러한...
[학술논문] 남북관계에서 본 북한 선교정책 전망: 한국교회의 북한선교 방향성 고찰
...선교단체들의 환경변화 요인과 문제점들을 살펴보면 핵 위기론으로 한국교회 내에 갈등과 분열의 조짐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북한 내의 자본주의 경제체제 모방이 가속화되면서 북한을 지원하는 창구가 다변화되어 북한 선교사역의 방향과 전망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가장 큰 문제는 직접 선교를 할 수 없다는 것이며, 또한 개 교회와 선교단체의 협력문제, 북한선교에 대한 들뜬 감정의 문제로 인하여 북한선교의 방해요소로 작용한다. 미래지향적인 북한선교정책의 기본원리는 성경적 인간성 회복사역과 성육신 선교사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북한선교의 정책기조로 본 전환에서 개인적인 차원의 북한선교, 개교회적인 차원의 북한선교, 교파적인 차원의 북한선교, 한국교회 에큐메니컬적인 차원의 북한선교, 북한선교의 마중물로 통일선교를 준비해야...
[학술논문] 남북한 분단체제와 평화통일운동으로서의 선교
...논의하였다. 현단계의 통일실천은 화해협력단계의 선교를 구체화하고 또한 평화통일을 방해하는 기제(mechanism)로 극단적 반공주의의 해소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교회의 평화통일선교를 위한 ‘생명살림과 통전선교와 전략’을논의한다. 먼저 한반도 분단구조와 실천논리를 분석하고, 뒤이어 한국교회가 실천한 북한선교와 통일선교를 반성적으로 서술한다. 이러한 반성을 통하여 한국교회가 실시할 평화통일선교를 구체적으로 나누어 기술한다. i)평화통일선교에 대한 신학과 신앙의 확립이 중요하다. ii) 한국시민사회의 일부분인 남한교회는 남북 화해협력선교를 남북통일실현 차원, 남한사회 구조변혁 차원, 그리고 남한교회 내부의 화해협력증진 차원에서 진행한다. iii) 화해협력선교는 영혼구원과 인간구원, 사회구원과...
[학술논문] 남북한 정부의 통일정책과 한국교회 통일운동의 관계
...남북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남북기본합의서), 2000년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국방위원장의 6.15남북공동선언은 남북분단 이후 남북관계의 발전에서 중요한 역사적 자산이다. 이 글의 목적은 남한과 북한 정부의 통일정책과 한국교회의 통일운동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두 정부가 공동으로 발표한7.4남북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6.15남북공동선언 그리고 남북정부의통일방안을 분석하고, 그것들에 대한 교회의 반응 그리고 교회의 통일운동이 정부의 통일정책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한국교회는 남북화해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7.4남북공동성명에 충격을 받았으며 이 성명의 3대 통일원칙 중에서 자주의 원칙과 민족대단결의 원칙을 경계하였다. 교회의 통일운동을 자극한 것은 1981년 조국통일기독자회의와...
[학술논문] 한국교회 반공 이데올로기 형성 연구
...해방되지 못 한 채로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의 배경에는 한국 교회가 지나온 세월 동안 계속되어온 역사적 경험에서 나온 것이라 할 수 있다. 해방 전 한국 교회는 독립을 위해 다양한 사회단체와의 협력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17년 볼세비키 혁명이후 공산주의는 전 세계로 확산되었고, 이러한 공산주의 확산은 한국 기독교에게 새로운 충격으로 다가 왔다. 그리고 이러한 공산주의 확산이 한국 기독교 민족주의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이렇게 확산되고 있던 공산주의와 해방 전과 해방 후에 새로운 국가 건설을 위해 연합을 모색하고 있었던 기독교 민족주의자들에게는 공산주의자들이라고 해서 연합해서 새로운 국가건설을 위해 협력할 필요가 있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사회주의자들과의 연합전선은 갈수록 공산주의자들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