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구전문학(口傳文學)’ 연구에 나타난 ‘인민’ 담론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
...‘인민성’의 사상적 내용과 이념적 지향을 견지하되 문학 연구의 관점에서 ‘구전문학’을 표제적 개념으로 내세우게 되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향은 1990년대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인민성’과 ‘
구두성(구술성, 구전성)’ 사이의 간격에 내재한 여러 쟁점들, 예를 들면 인민성이나 집체성이 구두성과 맺는 관계나 기록성과 구술성 사이의 관계 문제, 혹은 인민성과
구두성 가운데 어느 쪽이 더 본질적인 것인가 하는 문제, ‘구전문학’의 인민적 지향을 명백하게 드러내면서도 비문학적 요소들을 ‘인민창작’의 개념에 결부시켜 어떻게 해소할 것인가 하는 문제 등이 핵심적인 논쟁거리로 남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