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셔널리즘의 세 얼굴 - 1940년대 전반기 박영호의 연극경연대회 출품작들을 중심으로 -
...담론들과 접합하여 제국주의적 내셔널리즘으로 주조해냄으로써 전시체제기 일제의 필요에 영합하고자 하였다. 이 작품들은 일본의 제국주의 담론에 충실하려는 작가적 의도에도 불구하고, 예술가로서, 그리고 식민지인으로서의 자기의식이 틈틈이 작품들 안에서 균열을 일으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이는 전시체제기 일제의 각박한 규율 시스템에 대한 작가의 예술적 반응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는 월북하여 북조선연극동맹 초대위원장을 지낸 바 있다. 북한 사회의 규율 원리로서의 내셔널리즘과 그의
국민연극 담론은 친연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가 해방 후 북한에서 활발히 활동했던 것을 고려해볼 때, 그의
국민연극 담론에 대한 이해는 북한의 전체주의적 통제 시스템 안에서의 예술미학적 이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