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사회주의사상의 전개와 북한헌법에의 영향 - 이른바 주체사상 및 선군사상과 관련하여 -
북한은 2012년 4월 북한헌법을 개정하였다. 개정의 핵심은 2011년 12월에 김정일의 사망으로 인하여 그의 아들 김정은에게 3대째 권력을 세습하여 주기 위하여 권력이양의 정당화과정으로서 군부세력의 제1인자의 자리인 종전의 ‘국방위원회 위원장’이라는 명칭을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으로 개칭하였다. 결과적으로 2012년 4월에 김정은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등극함으로서 김일성 혈통가계를 다시 이어가게 되었다. 김정은에게 있어서 군사정부체제는 당분간 권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는 버팀목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김정은은 앞으로 북한주민의 사상적 이념을 어떻게 결집시킬 것인 가라는 문제도 안고 가게 될 것이다. 북한은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이념으로 정권이 이루어졌고...
[학술논문] 김정은 유일영도체계의 확립과정과 함의
... 북한에서 김정은 체제를 확고히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유일영도체계였다. 유일영도체계는 권력이 1인에 집중되어 최고지도자를 중심으로 전체사회가 하나의 틀로 된 체계이다. 김정은 유일영도체계 확립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바로 수령영도체계이다. 이를 위한 북한의 정치과정은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김정은을 최고권력자로 세운 법·제도적 장치의 완비이다. 이 과정에서 김정일은 ‘영원한’이라는 수식어로 영생화를 꾀하였다. 2012년 4월 11일 제4차 당대표자회를 열어 로동당 제1비서에 올랐고, 이틀 후 제12기 제5차 최고인민회의에서는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으로 추대되었다. 둘째, 권력 엘리트의 재배치와 숙청이다. 2012년 7월에는 군부의 핵심 인사인 리영호를...
[학술논문] 김정일, 김정은 집권 초기 북한 권력체계 비교:최고인민회의 제10기, 제13기 제1차 회의를 중심으로
2014년 3월, 김정은 시대 들어 처음으로 북한은 제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를 실시했다. 같은 해 4월 북한은 최고인민회의 제13기 제1차 회의를 통해 김정은을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으로 재추대하였다. 이는 김일성 주석 사망 이후 4년 만인 1998년 7월 실시한 제10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와 그 직후 제10기 제1차 회의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대를 연 것과 유사하다. 최고인민회의 제13기와 제10기, 두 시기의 선거와 제1차 회의를 비교, 분석하였다. 유사점과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유사점은 두 회의 모두 최고지도자의 위상과 권한을 확보하는 회의였다는 것이다. 김정일을 국방위원장으로, 김정은을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재추대하는 것이었다.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구성의 경우에도, 전반적으로 정치적...
[학술논문] 김정은시대 북한정치의 제도화 과정에 관한 연구
... 다음 헌법을 개정하여 국방위원회를 국무위원회로 바꾸고 국무위원장에도 추대되었다. 이렇게 제도화 과정을 통하여 ‘김정은 유일영도체계’를 완성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아버지 김정일 다음의 제1의 인물이 아닌 ‘제3의 수령’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이다. 북한은 그들이 주장하는 수령결사옹위를 위한 ‘김정은식의 정치권력구조’를 만들어 놓았다.
[학위논문] 中國과 北韓의 軍事思想과 黨·軍 關係 比較 硏究 : 黨의 軍事指導思想과 領軍體系를 中心으로
...제3차 당대표자회의에서 김정은 후계체제가 공식화되면서 상설기구화 되었다고 판단된다.
여섯째, 중국의 총정치부와 북한군의 총정치국은 공히 양국군의 당위원회의 집행부서로서 당의 군대를 구현하고 있는 핵심조직으로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반면 중국의 총정치부는 당중앙군사위원회 소속부서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면, 북한의 총정치국은 당중앙위원회의 직속 정치기관인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고 본다.
일곱째, 중국 국가중앙군사위원회와 북한 국방위원회는 공히 당의 정책을 집행하는 국가기관으로 실질적 권한은 위원장에게 집중되어 있다는 점은 유사하다. 그러나 중국은 당중앙군사위원회와 같은 인원으로 구성되어 당과 국가기구로서 동일성격을 지니고 있다. 반면 북한의 국방위원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