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박완서 소설의 ‘공모’ 의식과 마음의 정치—1987년 이후와 박완서 소설의 1970년대 서사
...이르기까지 대대적으로 변화하기 시작한다. 1970년 등단하여 줄곧 반공주의의 영향력을 다뤄온 박완서는 1970년대 어느 작은 마을에서 국회의원 선거를 치룰 때마다 마을의 주민들이 권력의 편에 서기 위해 스스로 선거 부정을 일삼던 일을 ‘복원’이라는 수기를 통해 고발하는 이야기를 심사하는 과정을 다룬 소설을 발표한다. 이 수기의 주인공은 1987년 민주화가 이루어지고 세상이 바뀔 것이라는 기대를 하면서 1970년대 자신이 저지른 부정과 권력의 추악한 면모를 생생히 증언한다. 그러나 당선 사실을 통고받으면서 바로 당선을 취소한다. 1989년 치러진 국회의원 선거에서 수기에 고발한 국회의원이 그대로 후보자가 되어 출마했기 때문이다. 이로써, 소설은 소설 속 수기의 현실적 의미를 통해 오랫 동안...
[학술논문] 정책선호가 정당 지지에 미치는 영향: 제19대 총선을 중심으로
선거에서 정책선호에 기초하여 투표하는 정책투표(issue voting)는 대의민주주의가 작동하기 위한 필수 요건이다. 그러나 정책투표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선거에서 유권자들이 실제로 정책에 따라 투표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국회의원선거에서 유권자들의 정책선호가 정당 지지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지난 제19대 총선 약 1개월 전에 실시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일자리, 세금, 환경, 그리고 대북정책 등 4가지 정책 사안에 대한 유권자들의 선호가 총선에서 지지하는 정당을 결정하는 데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정책 사안에 대한 유권자들의 선호와 더불어, 각 정당의 정책에 대한 유권자들의 인식을...
[학술논문] 통일한국의 국회의원선거 실시 방안 연구
본 연구는 급격한 북한 정권 변화에 따른 흡수통일 방식을 가정하여 통일한국의 바람직한 국회의원 선거제도 탐색과 현실적 여건에 맞춘 구체적 선거관리 방안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남북한 선거제도 차이점과 통합 상 문제점을 분석한 후 대안을 제시한다. 대안으로서는 첫째, 통일한국의 국회의원선거제도는 남북권역대표 100석의 상원과 독일식혼합형선거제도로 선출된 350석의 하원으로 구성된 양원제를 제안한다. 둘째, 통일한국의 선거관리 실천 방안으로서는 ‘통일선거준비단’과 ‘북한지역선거관리지원단’을 설치한다. 이 때 소요인력은 남한의 선거관리 유경험자, 북한이탈주민 등으로 충원한다. 셋째, 선거법위반행위 단속 조치를 취하는 등 선거과정의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를 마련한다...
[학술논문] 동백림 사건의 쟁점과 역사적 위치
...간첩죄는 인정되지 않았다. 관련자들은 중형을 선고받았지만 1970년 말까지 모두 감형과 특별사면의 방식으로 감옥에서 나왔다. 유럽에서 귀국했던 사람들은 모두 유럽으로 돌아갔다. 이 사건에는 중앙정보부의 고문 및 재판개입 여부, 유럽 거주 사건 관련자들의 한국으로의 강제 귀국 여부, 실제 간첩사건인지의 여부, 그리고 이 사건과 1967년 6월 8일의 국회의원 선거 부정과의 관련 여부 등에 대한 쟁점이 존재한다. 2006년 국가정보원에 대한 과거사건 조사 과정에서 여러 의혹에 대한 해명이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풀어야 할 의문이 많다. 동백림사건에서 가장 중요한 사실은 이 사건이 1960~70년대 수많은 공안사건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북한 → 지식인 → 학생’의 배후와 연결고리가...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투표행태 연구 : 지역 변수를 중심으로
...국회의원 선거; 제6대 전국동시지방선거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을 설문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에서 체화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치적 보수성과 권력 순응적인 정치성향이 남한 사회의 지역주의적 정치의식과 만나는 정치재사회화의 과정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은 18대 대통령 선거의 경우 연령; 교육정도; 이념; 거주 지역에 따라 구분되는 투표행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거주 지역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되는 투표성향을 보여 주고 있음이 드러났다.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이 보수적인 투표성향을 갖고 있지만; 정착한 거주 지역에 따라 자신들의 정치적 성향과 투표행태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실천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제 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