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이용준 세종연구소 이사장 “협상 통한 北 비핵화 실패… 실질적 군사 대비태세 중요” [세계초대석]
11월 미국 대선 전후 북한이 7차 핵실험 또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와 같은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신냉전’ 체제로 재편되는 전환기 국제정세 속에서 북한 핵 위협은 더욱 노골화하고 있다. 정부는 한·미동맹을 중심으로 한 미 핵우산 강화로 북핵 위협에 대응하고자 하지만, 국내외 안팎에선 자체 핵무장론, 전술핵 배치 등 다양한 의견이 쏟아지고 있다.
[뉴스] 김정은 "연평·백령도 북쪽에 국경선"…새로 선 긋고 도발 위협(종합)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무시하고 연평도와 백령도 북쪽에 이른바 '국경선'을 그어 군사적 대비태세를 강화하겠다고 밝혀 긴장 수위를 끌어올렸다.
[학술논문] 제3차 북핵 실험 이후 북한의 무력도발 가능성과 군사적 측면에서의 한국의 대응
2012년 12월의 북한 장거리 발사 실험과 금년 2월의 제3차 북 핵 실험 이후, 북한은 핵무기 보유와 대륙간 탄도 미사일 완성을 기정사실화 하려는 전략과 함께, 선제 핵무기 기습 타격 및 서울 불바다 폭언 등을 행하여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위협 및 전쟁 도발 가능성을 크게 증대시켜 왔다. 여기에 필자는 월츠의 체제 접근론을 보완한 나이 교수의 전쟁 원인론에 기초하여 전쟁 발발 가능성을 분석 및 평가해 보고, 북한의 가능성 있는 전쟁도발 유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포괄적인 대비방향을 국방정책 및 전략 측면에서 제시해 보았는데, 북한의 가능성 있는 전쟁도발 가능성을 평가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로 극도로 악화된 한반도 위기상황은 미-중간의 양극구도 심화 및 경직성 증가와 김정은
[학술논문] 박근혜 정부의 국방정책 평가: 한·미 쟁점을 중심으로
이 글은 박근혜 정부의 국방정책 중 한미간에 공동으로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거나 또는 한미간에 논쟁의 소지가 있었던 국방정책에 대해 평가한다. 평가대상은 군사대비태세, 한미동맹, 그리고 사드(THAAD) 배치 등 3가지 분야이다. 북한의 WMD 실험과 목함지뢰 도발에 대해 한미는 유엔 안보리 제재와 강력한 의지 천명 및 응징보복으로 대응했다. 그러나 북한이 공개한 KN-08 개량형, KN-09, KN-11 등 신형 무기에 대해서는 뚜렷한 대응책을 제시하지 못했다. 전작권 전환이 재연기되고 작계 5015가 완성되고 다양한 국방협의체들이 만들어짐으로써 한미 동맹은 더 심화되었다. 그러나 한국은 미군의 탄저균 배달사고와 미 제2사단의 마지막 기동여단의 해체를 보면서 한미동맹의 미래를 우려하고 있다. 또한 미국은 한국...
[학술논문] 김정은 체제의 테러전망과 대응
...서슴지 않고 있다. 북한의 체제와 이념이 민주화되지 않거나 대남전략이 불변하는 한, 북한의 테러행위는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북한이 자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테러와 관련해서는 우리는 특정 부서가 아닌 국가적인 차원에서 사전에 예방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는 테러에 대비한 국가위기관리시스템을 사전에 확립하고, 우리군의 대북 억지능력구비를 포함한 군사대비태세의 확립 및 테러방지를 위한 국제협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 또한 국민의 안보의식 제고를 위한 교육의 강화와 북한의 개혁과 개방의 점진적 유도를 위한 남북대화와 교류협력의 모색·추진 등의 대비전략도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반적인 테러예방태세를 갖춘 후에 테러의 피해를 예방하고 테러발생시 피해를 극소화하기 위한 철저하면서도 체계적인...
[학술논문] 동맹과 핵공유: NATO 사례와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에 대한 시사점
...있다. 전자의 경우 유럽 미군기지에서 미국 전술핵탄두를 관리하는 ‘핵공유’ 프로토콜이, 후자의 경우 1966년 구성된 나토 핵계획그룹(NPG)이 일종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그간 유럽에서 진행돼 온 관련 논의를 종합해보면, 주요 나토 동맹국은 이러한 메커니즘의 실효성에 상당한 회의를 품어온 반면 그러한 문제제기로 인해 미국측이 독점적 결정권을 양보하거나 핵 사용의 시기∙방법∙목표물 선정 등의 핵심사항을 구체적으로 상의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수용한 경우는 발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유럽 전구의 미국 전술핵 배치가 군사대비태세 강화 같은 실질적 목적보다는 동맹에 대한 미국의 정치적 의지와 안보공약을 상징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학위논문] 북 김정은 체제의 핵외교 행태 연구 : 핵능력 변천과 대외정책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북󰠏미 비핵화 협상기간 동안 ‘핵을 가진’ 북한과의 관계개선을 추구하면서 북한이 비핵화의 길로 접어들 수 있도록 북미 양측을 견인해야 한다는 이중적인 난제를 안고 있다. 동시에 비핵화 협상의 예측 불가성 때문에 대북관계와 한반도 정세가 또다시 위기 국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는 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대북정책을 펴야 하며, 군사 대비태세를 준비해야 하는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상황에 직면해 있는 것이 현실이다.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a key factor that has dominated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early 1990s to the present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