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불교 고문헌과 그 특성
...기록하고 있는 『조선사찰귀중재산목록』 가운데 8개 本末寺가 현재 북한지역에 속한다. 여기에 기록되어 있는 재산 목록 가운데 불교 고문헌을 정리하고, 또 한국전쟁 이후에 작성된 김일성종합대학의 불교 고문헌 목록을 정리하여 북한의 불교 고문헌과 그 특성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북한 소재 8개 本寺는 유점사, 패엽사, 성불사, 영명사, 법흥사, 보현사, 석왕사, 귀주사이다. 이 사찰들과 그 末寺의 소장 불교 고문헌은 佛書類, 木板類, 寺誌類 등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불서류는 현재 국내에서도 구할 수 있는 자료가 대부분이지만 목판류와 사지류는 국내에서 구하기 어려운 유일한 자료라는 점에서 북한 방문을 통한 조사 및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조선시대 국왕의 어필을 비롯하여 조정에서 발급한 완문, 사찰의 역사를 기록한...
[학술논문] 유리건판으로 보는 북한 지역의 조선 후기 범종과 향로
...2점이었다. 유리건판 속 조선 후기 범종은 釋王寺 <숭정6년명 범종>(1633), 釋王寺 <순치5년명 범종>, 귀주사 <강희10년명 범종>, <귀주사 범종>(17세기 후반), 성불사 <강희30년명 범종>(1691), 장안사 <강희47년명 범종>(1708), <도광10년 경인명 범종>(1830)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범종들은 명문과 양식을 통해 주종장을 추정할 수 있었다. 석왕사 <숭정6년명 범종>(1633)은 天宝, 성불사 <강희30년명 범종(1691)>은 智俊과 太行, <귀주사 범종(17세기 후반)>은 思印, 장안사 <강희47년명 범종(1708)>은 李海俊과 剋連, <도광10년 경인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