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70년대 간첩/첩보 서사와 과잉 냉전의 문화적 감수성
...‘적’과의 직접 접촉에서 오는 매혹과 두려움을 더 많이 표출한다. 따라서 간첩/첩보서사는 단지 배제의 서사인 것이 아니라 북한에 대한 혐오와 연민, 매혹과 불안이 공존하는 복잡미묘한 감수성을 내포하고 있는 이중적 서사이다. 1970년대 간첩/첩보서사는 당시 각종 미디어를 풍미했던 통속성을 대중과의 접점으로 삼아 ‘정통성 경쟁에서 승리한 대한민국’이 ‘가련한 동포들이 신음하고 있는 북한’을 표상하는 간첩에 연민과 애증을 보내는 이야기이다. 과잉냉전은 사회의 모든 문제를 북한과 공산주의의 탓으로 돌리는 극단적인 반공주의와 남북대결 의식을 낳았지만 그 저변에는 매혹과 불안이 공존하고 있었다는 것을 간첩/첩보서사가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학술논문] 남북한 분단체제와 평화통일운동으로서의 선교
...정치적 참여와 반공주의의 출현과 이 ‘반공주의의 종교화’를 논의한다. 또한 이 시기 통일운동의 주체인 정부당국의 통일정책으로 무력통일론과 흡수통일론의 문제를 살핀다. 또한 다른 ‘시대의징조’로 정부당국들, 한국교회와 시민단체들의 평화운동을 논한다. 남북당국은 합의에 의하여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의 통일원칙을 선언하였다. 특히 6·15공동선언은 남한의 연합제와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가 가진공통성을 인정하여 현실적인 통일접근이 가능하도록 했다. 시민사회는 대등적 협상통일론과 현재진행적 시민참여 평화통일론을 논의하였다. 현단계의 통일실천은 화해협력단계의 선교를 구체화하고 또한 평화통일을 방해하는 기제(mechanism)로 극단적 반공주의의 해소할 필요가...
[학술논문] 한반도 평화를 위한 재기억화의 모색 - 한국교회 연합의 기억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북한과 공산주의, 그리고 보수와 진보 상호간의 이해를 도모하고적대의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론으로 한국교회 집단기억의 재기억화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공산주의에 대한 세계교회와 한국교회의 대응과 그차이를 분석하면서 극단적 반공주의의 문제를 성찰하였다. 또한, 1980년대 이후진보진영의 통일운동과 보수진영의 복음통일론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각각의의의를 고찰하였다. 양 진영은 1990년대 북한돕기운동으로 연합의 물꼬를 텄고, 외국인과 재외한인의 대북지원활동이 연합의 가교 역할을 해왔다. 교회의 연합과 일치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중요한 선행조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북한과 공산주의에 대한 선악의 이분법적 시각을 극복하고, 북한돕기운동에서 이루어졌던 연합의 기억을 소환하고 공유함으로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