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근대시와 시적 표상공간으로서의 ‘서도’ 로컬리티 - 1920년대 시형식의 변화와 시적발화를 중심으로
...깊다. 주요한의 경우는 최초의 자유시 『불놀이』로 표출된 근대시형식이 ‘(엮음)수심가 토리’의 형식과 유사한 바가 규명되었고, 김동환의 『국경의 밤』은 대륙과 접한 서도지역의 활달한 기개와 특유의 함경도 언어를 활용하여 ‘서사시’라는 새로운 시형식을 탄생시킨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본 연구는 이 같은 내용을 토대로 1920년대 한국 근대시의 서도 로컬리티가 지니는 시적 표상공간으로서의 의의와 가치를 재고해 보고자 했다. 요컨대, 서도 로컬리티’는 근대시의 표상공간으로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본고를 통해 1920년대 시인들의 근대적 시도들이 서도 로컬리티와 무관하지 않음이 밝혀져, 한국근대시의 형성과정이 다양한 시각으로 다시 재고될 것으로 기대해...
[학술논문] ‘이미’와 ‘아직’의 변증법 - 말소리의 감각과 통합적 사유를 중심으로
이은상은 입말의 특징을 살려 시조를 지었다. 그의 시조는 문학 텍스트로 출판되었고 가곡으로 만들어져 널리 불렸으며 현재 남북한 시선집에 가장 많이 등재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주목하면 노래가 제거된 시의 역사가 근대시의 역사라는 생각이 허구적 가설이라는 생각에 동의하게 된다. 문자 중심의 서술을 통해 문학적 근대에 대한 관념이 ‘이미’ 정립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음성 언어의 특징이 우리문학에 끼치는 영향이 여전하다는 점에서 보면 문학적 근대에 대한 내포는 ‘아직’ 형성 중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은상 시조의 말소리, 청각의 감각이 전근대/근대/탈근대에 대한 강박적 인식을 넘어서는 하나의 매개이자 이후 통일문학사를 구상하는 한 경로가 될 수 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