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군사]
...5개년계획’이라고 할 수 있다. 대남‧대미 ‘강대강, 선대선의 원칙’과 ‘국방력발전 5개년 계획’이 모두 2021년 1월 제8차 당대회에서 처음 언급되면서 구체화된 점, 전술핵무기 사용을 불사하는 ‘대적행동원칙’의 표명이 2022년부터 본격화되었다는 점, 이들 사이에는 불가분의 연관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요약하면, 대미‧대남 억지력 확보를 목표로 하는 ‘핵전략,’ 그것을 구체화하는 핵능력 고도화 실행계획인 ‘국방력발전 5개년계획,’ 핵능력을 기반으로 한 대미‧대남 대응 전술인 ‘대적투쟁원칙,’ 이들 사이에는 유기적 연계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법/인권]
...압박’(maximum pressure) 전략의 일환이기도 했다. 북한여행 금지령은 미국 인도주의 단체의 지원을 급격히 줄어들게 만들었다. 유엔과 민간 구호단체들은 사실상 대북 인도적 지원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 비록 ‘강력한 인도적 사유’가 존재할 경우 여행금지를 면제해 주지만 문제는 미국 정부가 그 사유에 대해 매우 좁은 해석을 내리고 있다는 점이었다. 또한 미국 정부가 여행금지 면제 요청 처리를 의식적으로 지연시키려는 경향도 있었다. 자선 기부로 자금을 조달하는 비영리 NGO로서는 면제승인 과정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 활동에 치명적 타격을 입혔다.
대북 인도적 지원 외에도 북미가 연계된 인도적 사안으로는 이산가족 상봉 문제가 있다. 대한적십자사는...
[학술논문] 북한 전략무기 기술 수준과 군사전략 간 관계 분석 : 상호 구성적 접근
...등 전략무기 개발을 본격화하며 군사전략의 구조적 변화를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략무기 개발이 북한 군사전략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기술 수준과 전략 선택 간의 상호 구성적 관계에 주목하고, ‘기술–작전 기능–군사적 능력–전략적 효과–군사전략’으로 이어지는 다단계 연계 구조를 이론적 틀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전략무기 6종에 대해 목표 기술 수준과 현 기술 수준을 각각 설정하고, 각 수준에 기반한 군사전략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목표 수준에 도달할 경우 북한은대미 핵 보복과 대남 제한핵전을 양축으로 한 복합 전략을 구사할 수 있으며, 이는 평시 정권 안정과 유사시 무력 기반의 한반도 질서 재편이라는 전략 목표로...
[학술논문] 북․러 동맹관계에 관한 연구: 전략문화 관점에서
...왜 북․러 신조약을 체결하고 군사동맹 관계를 복원하였을까? 이 논문은 신현실주의나 신자유주의 등 전통적․물리적 국가이익에 초점을 맞춘 국제정치학의 관점이 아니라 전략문화적 관점에서 북․러 동맹관계 복원을 연구하였다. 특히 북한의 지리적․지정학적 조건과 북한체제가 성립되던 초기의 역사적 경험을 통해 형성된 ‘태생적 전략문화’의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북한이 ‘적대적 두 국가론’ 표방을 통해 자신들의 정통성을 강조하고 정체성을 강화하려는 의도와 북․러 동맹관계 복원이 서로 연계되어 있으며 ‘적대적 두 국가론’을 통해 대남 적대관계를 유지하더라도 체제 생존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북․러 간...
[학술논문] 신기술을 활용한 남북한 경제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농업분야를 중심으로
... 남북한 협업모델을 제시하였는데, 주요 내용으로는 북한 농업 내 기계 설비 이전, 작부체계 안정화를 위한 재배 신기술 이전, 제도와 인력 양성 체계의 구축, 신기술 이전을 바탕으로 한 시범농장 운영을 통한 기술 착근 전략, 국제기구 및 NGO 연계를 통한 협력모델 확장 등이 있다. 신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감자자원을 활용한 농업협력은 단순 인도적 지원을 넘어 남북한이 상호 보완적 가치사슬을 구축할 수 있는 실질적 접점임이 확인되었으며, 향후 협력은‘생산–가공–유통’으로 이어지는 가치사슬 중심 모델 전환, 북한의 정책 신호와 수요를 반영한 실증 기반 전략, 시범지역·분산 클러스터 방식을 통한 단계적 협력으로 진화해야 함을 제안한다. 향후 본 연구의 남북한 농업경제협력안...
[학술논문] 북한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따른 대응전략
...소형화, 그리고 무수단 및 SLBM 시험발사 등 투발수단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북한은 지난, 7차 당 대회에서 스스로 핵보유국으로 규정하면서 “핵무력․경제 병진노선”을 채택하여 국제사회로부터 핵보유국 지위를 기정사실화 하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이를 보면 김정은 정권은 핵능력 개발을 절대 포기하지 않고 실전배치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른 우리의 대응전략은 국제·국가안보적 차원에서 사활을 걸고 총역량을 집중하여 적극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우선, 정치적으로는 북한 핵문제의 당사국으로서 국제사회와 연계하여 북한의 핵위협을 주도적으로 관리하면서 북한의 비핵화 달성에 다각적인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북한 김정은 정권의 호전성을 감안하여 국제사회가 유엔(UN) 안보리...
[학위논문] 韓·美 安保協力體制下에서 美國의 韓半島 危機管理戰略 硏究
...위기요인은 ①북한 및 주변국으로부터의 안보상 위협, ②북한의 핵 및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WMD)에 의한 위협, ③북한의 내부분열 또는 체제붕괴등의 우발사태 발생, ④평화의 정착 및 통합과정에서의 혼란발생 등이다. 이러한 위기요인을 평화적이고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기 위해서는 미국의 지원과 협조가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미국은 한·미 관계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앞서 언급한 한반도에서의 의무와 권리를 유보하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세계유일 초강대국으로서 통일의 전 과정은 물론 통일이후까지 한국이 주도적 통일을 이루어 가는데 강력한 정치군사적 기반을 제공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向後 한반도에서 평화적이고 안정적인 통일국가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는 위에서 기술한 위기요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