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녹족부인 서사의 ‘기아(棄兒)’ 모티프 연구
...‘기아(棄兒)’ 모티프를 고찰하여 북한 사회의 이념 체계 속에 수용된 녹족부인 서사의 존재 양 상과 의미를 확인하다. 북한의 녹족부인 서사는 기아의 원인과 과정, 그리고 결과에 있어 특징적인 존재 양상을 보여준다. 첫째, 북한 녹족부인 이야기는 ‘위한 어머니’로서의 신격(神格)을 갖추어야 할 녹족부인의 존재적 위상을 일상 속의 범속한 여인으로 격하시키고, 웅의 자기 실현 과정이라는 의미망에 놓여 있어야 할 아들들의 버려짐을 계급투쟁의 이념으로 논리화함으로써 녹족부인 서사의 본질인 신화적 원형성을 도외시하고 있다. 둘째, 녹족부인의 아들들이 ‘상자’에 담겨 버려지는 것은 웅으로의 재생을 위한 입사의례의 상징성을 갖는데, 북한 녹족부인 서사는 기아의 과정에서...
[학술논문]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소설에 반영된 한국전쟁과 한국의 이미지
...의미가 있지만 널리 알려지지 못했던 구체적인 사건들을 면밀히 조사하여 ‘문학’이라는 틀 속에 감동적으로 담아냈고, 그 과정에서 인류 보편의 휴머니즘적 가치를 일깨움으로써 작품 저변에 깔려 있는 정치 선동적 목적의식과는 별개로 기록적․미학적 가치를 획득하는데 성공했다. 1950년대 한국전쟁을 소재로 한 폴란드 사회주의리얼리즘 소설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당시 작가들이 한국을 역사의 질곡 속에 가혹한 운명을 짊어진 불행한 약소국, 그리고 기아와 빈곤으로 얼룩진 비극의 영토로 형상화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같은 민족끼리 총부리를 겨누어야만 했던 참혹한 한국의 현실에서 외세의 침략과 학살로 일그러진 조국 폴란드의 쓰라린 과거를 떠올리며 동병상련(同病相憐)의 우호적인 감정을 표출하고 있다는 점이다.
[학술논문] 북한 기근의 원인 분석: FAD, FED 접근법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감소에 의한 기근을 의미하는 FED(Food Entitlement Decline)적 접근으로 나뉜다. 그동안 한국 내에서의 북한 식량위기에 대한 분석은 이 두 접근방식을 기반으로 하였다. 하지만 북한 기근의 해결책에 대한 모색은 양 접근법을 바탕으로 하는 균형적 관점을 기초로 기근의 원인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때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기아 관련 이론의 두 축인 FAD 접근법과 FED 접근법이 무엇인지 보다 자세히 고찰한 이후, 둘째, 북한 기근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분석들을 FAD와 FED 접근법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정리해 보았다. 셋째, 시기별로 북한 기근의 원인을 분석한 연구자 및 기관의 주요 분석틀을 분석하였다. 즉 특정 시기별로 FAD와 FED 중 어떠한 이론적 프레임이 연구자 혹은...
[학술논문] 시장도입 초기 평양 공간의 재배치:1984-2003년을 중심으로
이 논문은 시장도입 초기 평양 공간의 재배치가 사회변화와 정권유지에 어떤작용을 했는지를 연구하고 있다. 평양에 시장이 도입되고 도시민의 삶에 변화가나타난 것은 기아 이후가 아니라 1984년 이후이다. 또한 시장체제와 상업공간의도입은 평양 도시공간의 불평등성을 심화시켰을 뿐 아니라 북한 정권의 권력유지를 위한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유일사상체계를 완성해가고 권력 세습을 준비하던 1967년, 북한 정권은 전 주민들을 적대, 동요, 핵심계층으로 분류한다. 1980년을 전후해 적대계층과 동요계층은 기존의 모든 혜택을 잃고 강제수용소로로 추방되었으며 일반 시민들은 적대계층이 남기고 간 공간을 수여받고시장공간을 이용한다. 반면 핵심계층은 새로운 소비의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외화상점 사용을 허락받는다. 이 과정에서...
[학술논문] 성찬 공동체로서의 교회
...‘self-giving’(자기주심, 자기드림, 자기나눔)의 개념 을 제시한다. 성찬을 하나님의 자기주심, 우리의 자기드림과 자기나눔으 로살펴보면, 우리는성찬의풍성한의미를보다잘경험하고실천할수있 다. 이 논문은 자기주심, 자리드림, 자기나눔의 개념으로 성찬을 이해하 고 실천할 때, 교회는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기억하고 감사함은 물론, 내 적으로는 구성원들 간의 진정한 교제를 실천하는 페리코레시스 공동체, 외 적으로는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세상에 나타내는 레이투르기아 공동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 논문은 성찬을 통해 페리코레시스와 레이투 르기아 공동체로 세워지는 것이 한국교회가 지금부터 북한 동포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중요한 일들 중 하나라고 결론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