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무놀이 「돈돌라리」의 전승 양상과 특징고찰
본 연구는 가무놀이 「돈돌라리」의 지역별 전승양식과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가무놀이 「돈돌라리」는 함남 북청, 신창, 덕성, 단천, 이원, 갑산, 풍산 지역에 전승되어 온 민속무용이다. 그중 북청이 「돈돌라리」의 발원지답게 가장 유명하여 광범위하게 전승되고 있으며, 그 가락과 춤사위는 상징적이며 복합적인 의미를 내포한다. 이것은 태평과 풍농을 염원하는 사회통합적 기능으로 세시풍속에 연행되었고, 일제 강점기에는 독립운동의 선봉에서 항일의식을 고취하는 놀이로 변화ㆍ발전하였다. 그러나1950년을 전후로 분단이라는 특수한 지역성으로 인해 남북한의 원형이 다르게 전승되는양상을 보인다. 남한의 「돈돌라리」는 원형을 보존하고 꾸준한 전승 활동을 하면서 1998년함경남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특히 실향문화가 자리잡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