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후 일본으로의 ‘귀환’과 ‘조선인’의 정위
...일본인과 조선인의 ‘귀환’이 중첩되는 지점에서 무라마쓰 다케시와 오임준의 일본으로의 귀환을 통해 드러난 ‘조선’ 인식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전후 일본을 귀착지로 한 재일의 삶 속에서 ‘조선인’이 정위된 과정에 대하여, 재일의 존재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조명한 김달수와 분단시대를 극복하고자 한
김
시종의 활동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전후 일본으로의 ‘귀환’과 그에 따른 ‘조선인’의 정위를 살펴본 것은 현재의 한국과 북한, 그리고 일본의 뒤틀린 관계에 개선의 단초를 찾아보기 위한 목적이 크다. 해방 후에 분단된 두 나라, 그리고 일본에서 ‘조선’의 의미는 각각 엇갈려 있기 때문에 ‘조선인’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