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도 시각이미지 분석에 따른 한국의 국가이미지 측정
이미지는 시간과 정보의 흐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국가 또한 시대와 관계적 변화에 따른 꾸준한 성장과 도약을 위해 지속적인 국가이미지 파악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국가이미지 형성의 변인으로 언론이 제시하는 보도 시각이미지를 분석하여 실증적인 국가이미지의 실상과 부각되는 한국의 이미지 속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국가이미지와 보도 시각이미지 노출 빈도의 관계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기반으로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자이퉁, 프랑스의 르피가로를 대상으로 2011년 1월 1일∼12월 31일까지 검색어에 따른 70개의 한국관련 이미지를 수취하고 선정한 분석 요인에 따라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형성되어 있어 경제
[학술논문] 여성탈북기의 ‘미국화’ 장치들
본 논문은 2010년대 미국에서 출간된 여성탈북기를 주요 대상으로 하여, 이들텍스트가 ‘미국화’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이와 같은 효과를 발생시키는 서사(학) 적 장치를 분석해낸다. 이때 여성탈북기의 ‘미국화’란, 북한 주민 인권 문제로 의제화되고 있는 보편 담론이 미국의 인권 담론을 특권화하는 방식으로 생산·소비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성탈북기의 ‘미국화’ 장치는 첫째, 탈북 여성의 ‘소녀화’ 이다. ‘무고한 소녀’의 이미지는 북한의 전체주의와 대조되어 현실의 참상을 더욱 실감나게 전달하지만, 그만큼 북한 여성들은 미성년화되고, 그 소녀들이 향하는 미국은 이상적이고 관대한 세계로 표상된다. 둘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