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대화 규범의 탄생- 구성주의 시각에서 본 1970년대 남북대화
본 논문은 1970년대 남북대화를 구성주의의 시각에서 접근하고자 했다. 구성주의는 현실주의가 포착하지 못하는 연구대상을 발견하게 해주며, 연구질문을 다른 방식으로 설정하게 함으로써 현실에 대한 또 다른 이해를가능하게 한다. 1970년대 남북대화는 ‘데탕트’의 흐름 속에서 한민족국가를 꾀하는 ‘민족주의’와 이산가족방문을 뒷받침하는 ‘인도주의’의 가치가 만나는 지점에서 시작되었다. 이와 같은 가치들은 이전부터 존재해왔으나, 냉전적 국제정치구조가 느슨해지기 전까지는 자유진영과 공산진영의 일원이라는 정체성을 가로지르는 남북교류는 거의 불가능했다. 그러나 우호적인 남북관계는오래 지속되지 못했다. 이는 1970년대 남·북한의 관계개선이 국가 이익과정체성
[학술논문] 전쟁기 김상훈의 미발굴 시
Kim Sang Hun is a poet who defected to North Korea. His works after defection are not well known. This writing aims to introduce two of his works written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His work 「Let’s Fight Mother」 has two important points. First, the poem informs us that Kim Sang Hun was a war writer after his defection. Second, various images of mother from his personal history to public image
[학술논문] 1970∼80년대 북한문학의 지배담론과 소설 텍스트의 균열 양상 연구 - 『1932년』, 『청춘송가』, 『벗』을 중심으로 -
본고는 1967년 유일 주체사상체계 확립 이후 1970∼80년대 북한문학의 지배 담론과 북한 소설 텍스트의 균열 양상을 연구하기 위해 『1932년』, 『청춘송가』, 『벗』을 분석하였다. 이 시기는 북한문학의 경직성과 유연성을 함께 살펴볼수 있다는 점에서 남북한 문학의 이질성과 함께 공통감각을 확인할 수 있는 시공간에 해당한다. 1970년대 북한문학은 ‘공산주의적 교양과 공산주의 세계관’의강조 속에 ‘온 사회의 주체사상화’를 강조하는 문학예술로 수렴된다. 특히 4.15문학창작단이 김일성의 혁명역사를 연대기적 형식으로 형상화한 ‘총서 <불멸의역사>’ 중 『1932년』(1972) 등은 ‘기념비적 작품’으로 강조된다는...
[학위논문] 북한의 종교지형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확연하게 그 영향력이 나타난다. 종교 외적 요인으로 북한 종교지형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것은 북한 최고 권력자의 종교관이다. 특히 김일성의 종교관에 따라 북한사회에 종교지형이 변화 된다. 김일성 사후에는 체제를 이어온 김정일의 종교관이 중요한데 김정일은 유훈 통치를 통해 김일성의 종교관을 그대로 따르는 입장이기 때문에 북한의 종교지형은 김일성의 종교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최고 권력자의 종교관은 종교 정책으로 표출되며 이에 따라 종교지형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김일성의 종교관이 크게 변화된 시기는 황장엽의 주체철학이 김일성의 주체사상에 철학적 기초를 제공하는 때이다. 주체사상은 마르크스 레닌의 부정적 종교관을 긍정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주체사상은 종교적 접근을...
[학위논문] 북한 서정가요의 주제와 음악분석
...북한음악의 특징은 수령송가가 큰 폭으로 줄고 선전・선동가요와 당송가가 크게 상승했다는 점이다. 음계적 특징은 단조계열이 장조계열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7음음계의 비중 역시 월등히 상승하였다.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4/4박자의 비중이 높았다.
1990년대의 북한가요를 살펴보면 김일성의 사후, 본격적인 김정일 시대에서의 정치・경제적 변화가 반영된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80년대 말 동구권 공산주의의 몰락과 1990년대 초 소련의 붕괴 그리고 이른바 고난의 행군기를 거치면서 북한의 가요는 주민들에 대한 사상교양에 중점을 두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령송가 392곡, 당송가 221곡, 선전・선동가요 376곡 등 창작물의 양적 증가로 나타났다. 이 중 수령송가가 전 시대에 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