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응을 위한 미술교육프로그램 질적 연구: 고등학교 2학년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사회 구성원으로 자리하고 있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응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질적 연구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연구 참여자인 2명의 북한이탈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설계한 4단계의 프로그램을 연구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청소년을 위해 사회적응을 기반한 미술교육프로그램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청소년의 내면의 심리적 불안을 해소하는 기회가 된다. 북한이탈청소년은 한국까지 입국하는 과정에서 높은 스트레스를 받고 해소할 겨를 없이 새로운 문화에 적응해야한다. 이 과정에서 미술교육은 감정과 생각을 표출하는 기회가 되었다. 둘째, 자아정체성 확립을 돕고 여러 갈등 관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새로운 사회문화에 일방적 적응을